
지난 3일 비상계엄령 선포 이후 주택가 인근 편의점에서 생필품 사재기가 벌어졌다. 사진은 서울의 한 편의점에서 컵라면을 고르는 소비자의 모습. 뉴스1
4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A편의점은 지난 3일 오후 11시~자정까지 1시간 동안 주택가 인근 4000개 점포에서 생필품 매출이 1주일 전 같은 시간보다 급증했다. 매출이 늘어난 품목은 통조림(337.3%)·봉지라면(253.8%)·생수(141%)·즉석밥(128.6%)·건전지(40.6%)·안전상비의약품(39.5%) 등이었다. B편의점은 같은 시간대 식료품 매출이 전일 대비 늘었다. 통조림(75.9%)·햇반(38.2%)·생수(37.4%)·라면(28.1%)·시리얼(14.1%) 등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이 주로 팔렸다. C편의점은 같은 시간대에 즉석밥 매출이 전날 대비 70% 올랐다. 이외에 라면(50%)·생수(40%)·전기용품(20%) 매출도 늘었다고 전했다.

소비자들은 영업 시간이 지난 대형마트나 기업형수퍼마켓이 아니라 집 근처 편의점을 찾았다. 편의점 업계는 지난 3일 오후 11시~자정 사이 생필품 매출이 늘었다. 연합뉴스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에서도 생필품 구매가 급증했다. 홈플러스 온라인몰에선 4일 오전 1시 기준으로 쌀(2위)·라면(3위)·생수(6위) 등이 인기 검색어 순위에 올랐다. 4일 0시에 인기 검색어 10위였던 생수는 1시간 만에 6위로 뛰어올랐다. 의류와 가전제품이 많이 팔리는 11번가에서도 오전 1시경 인기 검색어에 라면이 올랐다. 특히 자정까지 다음 날 새벽 배송 주문을 받는 쿠팡에 생필품 주문이 몰린 것으로 알려졌다. 한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지난 밤 계엄 선포 이후 생수 등 일부 생필품 주문이 늘었다”라며 “새벽부터 현재까지 배송은 차질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 시민이 지난 3일 밤 편의점에서 컵라면을 대량 결제한 모습.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황진주 가톨릭대·인하대 소비자학과 겸임교수는 “편의점은 소용량 상품을 팔기 때문에 사재기에 적합하지 않은 채널인데도 사재기 현상이 나타났단 건 그만큼 불안감을 느낀 소비자가 많다는 것을 뜻한다”라며 “당장 편의점에서 생필품을 사지 않으면 앞으로는 구할 기회가 없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음 날 마트가 문을 열 때까지 기다릴 수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