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부터 2029년까지 시행할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을 발표했다. 쌀 소비량은 계속 줄어드는데, 생산량은 그만큼 빠르게 줄어들지 않으면서 정부가 계속해서 쌀을 사들여도 쌀값이 좀처럼 회복하지 않는다는 게 정부의 문제의식이다.
올해 재배면적 69만7714㏊…‘11.5% 급감’ 목표
벼 대신 논콩‧깨 등 다른 작물 농사로 바꾸는 농가에 지급하는 전략작물직불금을 전보다 높인다. 또 유기농‧무농약 등 친환경 벼 재배로 전환한 농가도 감축 실적을 인정하기로 했다.
올해 벼 재배면적이 69만7714㏊인 점을 고려하면, 정부의 내년 8만㏊ 감축 목표는 전체의 11.5%를 한 해에 줄이겠다는 말이다. 여의도(290㏊)의 276배에 해당하는 규모다.
내년에 먼저 빠르게 재배면적을 감축해, 그동안 발생한 공급 과잉을 한꺼번에 줄이겠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이다. 최명철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공급과 수요 간 불균형이 너무 큰데, 이를 한 번에 맞춰야 쌀 가격도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 2026~2029년에는 재배면적을 60만㏊ 수준으로 맞춘다는 목표를 세웠다.
탄핵 정국에 ‘쌀 의무 매입법’ 거부권 어려울 전망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앞서 양곡법 등 개정안에 반대하며 윤석열 대통령에게 거부권을 건의했지만, 탄핵 정국 속에 있는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기는 쉽지 않다. 양곡법에 대한 거부권은 오는 21일까지 행사가 가능한데, 만약 이번 주 국회에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 대통령 권한대행이 거부권을 행사할 수는 있다. 그러나 민주당이 정국 주도권을 잡은 상황에서 이재명 대표의 ‘1호 민생 법안’인 양곡법에 거부권을 쓰기도 어려울 전망이다.
농식품부는 이날 벼 재배면적과 감축과 함께 ▶쌀 품질 고급화 ▶신규 수요 창출 ▶산지 유통 경쟁력 강화 ▶연구개발(R&D) 지원 등으로 쌀 수요도 늘리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정부가 직접 맛‧향이 뛰어난 품종을 선정‧보급해 2029년까지 생산량의 90%를 정부 보급종으로 만들 계획이다. 고품질 쌀 위주의 생산·유통을 위해 쌀의 단백질 함량 표시를 의무화하고, ‘지역’ 중심의 쌀 시장을 ‘품종’ 중심으로 바꾸는 홍보도 강화한다.
아울러 쌀을 활용한 전통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제조업체에 대한 주세 감면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외국인 수요가 높은 장립종 쌀이나 혈당 저감 기능성 품종 개발을 위한 R&D를 지원한다. 최명철 정책관은 “쌀 생산 체계를 소비자가 원하는 고품질‧친환경 체제로 전환하고, 쌀값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 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