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오전 한미 합동조사단이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 지지 구조물에 올라 조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조사단은 항공기와 충돌 당시 파손된 로컬라이저 지지 구조물을 특히 유심히 살폈다. 이들은 방파제 형태의 흙더미 위에 콘크리트를 얹은 구조물을 가리키며 이야기를 나눴다. 흙바닥과 콘크리트 바닥의 사진을 찍거나 깨진 구조물을 발로 파헤쳐보는 조사단원도 있었다. 이들은 성인 남성 키의 배가 넘는 높이에 폭은 10m쯤 되는 구조물에서 좀처럼 눈을 떼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사고 당시 항공기는 활주로를 미끄러져 이탈한 뒤 이 구조물에 부딪혀 폭발했다.

1일 오전 한미 합동조사단이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 지지시설인 콘크리트 구조물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179명이 숨진 무안공항 항공기 참사에 대한 한미 양국의 사고원인 규명 작업이 본격화됐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는 지난달 30일 미국에서 급파된 미국 조사단과 함께 이틀째 현장조사를 벌였다. 항철위 관계자는 전날 오후 3시까지 사고 현장을 둘러본 조사단이 1일 오전과 오후에 걸친 현장조사에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사고 기체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합동조사단은 무안공항 내에 임시본부를 만들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합동조사단은 총 22명 규모로 항철위 사고조사관 12명과 미국 측 조사단 10명으로 꾸려졌다. 미국 측 조사단에는 미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5명과 미 연방항공국(FAA) 1명, 항공기 제작사인 보잉사 4명 등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오후 무안국제공항의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한미 합동조사단이 로컬라이저 지지 구조물에 올라 조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