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승 멀어도 가까워진 한국" 오늘도 점프볼 하는 '아줌마들' [만나고 싶었습니다]

SPECIAL REPORT - 함께 미래로

다문화가정 어머니들로 구성된 ‘포위드투 글로벌 마더스’ 농구팀원들이 용산구문화체육센터에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김홍준 기자

다문화가정 어머니들로 구성된 ‘포위드투 글로벌 마더스’ 농구팀원들이 용산구문화체육센터에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김홍준 기자

“그러니까 수비, 그래 디펜스, 팡셔우(防守) 말이야.”

중국에서 태어나 뉴질랜드에서 살다 한국에 온 손비비(42)씨가 한국어와 영어·중국어를 급하게 버무려 쏟아냈다. 지난달 18일 오전. 올겨울 들어 가장 춥다는 날 서울 용산구문화체육센터 농구 코트는 되레 뜨거웠다. “잘한다, 비비.” 천수길(66) 한국농구발전연구소장의 박수. 이날 플레잉코치로 데뷔한 손씨가 방긋 미소로 답했다. 이 연구소는 소외 계층과 다문화가정에 꿈과 희망을 심어주기 위해 2005년 설립된 비영리단체다.

이주 여성 농구팀 '포위드투' 창단…"땀으로 뭉쳐"
‘포위드투(ForWithTo) 글로벌마더스.’ 11개국 출신 이주 여성 25명이 모인 농구팀이다. 이미 유소년 팀에서 뛰고 있는 아이들 엄마가 대부분. “보호자로 구경만 하느니 우리도 뛰어보자”며 지난해 10월 미국 자선단체 포위드투재단의 도움을 받아 창단한, 따끈따끈한 새내기 농구단이다. 가수 진미령씨가 후원대사로 뛰고, 사격 국가대표 출신 김유연씨는 선수로 뛴다. 지난 1일 현재 전적은 5전 5패. 첫 승이 목마를 테지만 이들은 “함께 어울리는 게 더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관련기사

모임 시간 오전 10시. 아이들 뒷바라지하느라 10~15분 늦은 선수들. “아이고야, 배울 걸 배워라. 코리안 타임이냐.” 천 소장의 농담에 캄보디아 출신 이수민(33)씨가 “일찍 나온 저는 캄보디아 타임인가요”라고 하자 한쪽에선 또 “난 재패니즈 타임”이라고 말을 받았다. 아재개그, 아니 아줌마개그도 할 줄 아니 한국어 실력이 보통이 아니다. 언뜻 보면 아세안+3(한·중·일) 연합팀. 훈련은 왁자지껄 속 일사천리. 그렇게 두 시간. 중국에서 온 무용훙(46·牟永红·사진)씨가 “붕어빵을 구우러 가야 한다”며 급하게 먼저 코트를 나왔다.

이주 여성들로 구성된 농구팀 '포위드투 글로벌 마더스' 선수들이 지난해 12월 19일 서울 용산구문화체육센터에서 연습에 열중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창단 후 아직 1승을 거두지 못하고 있지만 승리보다 중요한 웃음을 잃지 않고 있다..김홍준 기자

이주 여성들로 구성된 농구팀 '포위드투 글로벌 마더스' 선수들이 지난해 12월 19일 서울 용산구문화체육센터에서 연습에 열중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창단 후 아직 1승을 거두지 못하고 있지만 승리보다 중요한 웃음을 잃지 않고 있다..김홍준 기자

 


땀 좀 말리고 가세요.
“늦었어요. 붕어빵 불을 빨리 지펴야 점심 먹고 회사 들어가는 직장인들에게 팔 수 있어요. 같이 뛰다 오세요.”
 
“네?”불을 올리는 시간에 자기 대신 뛰어달라는 말이었다. 무씨를 다시 만나러 간 건 30여 분 뒤. 붕어빵을 굽던 그가 “좀 더 잘 살고 싶어서 한국에 왔다”며 말을 꺼냈다.

농구는 왜 시작했나요.
“10년 전 한국에 와서 일만 했지 운동은 생각도 못 했어요. 알레르기가 있어 쉽게 쓰러지기도 했고요. 그런데 애들을 위해서라도 내가 약하면 안 되겠다 싶더라고요. 1년 전 처음 시작했을 땐 코트 한 바퀴 도는데 다리가 풀렸어요. 지금은 펄펄 날죠. 알레르기도 좋아졌고요. 성격도 내성적이었는데 어울리다 보니 말도 많아졌어요(웃음).”
 
"우리 아이 괴롭힘 없어 다행, 정말 다행" 
무씨가 붕어빵 한 마리를 낚아 건넸다. 갓 구운 붕어가 손에서 펄떡거리는 듯했다. 손님이 몰리기 시작했다.

이주 여성 농구팀 '포위드투 글로벌 마더스'의 무용훙씨가 서울 용산구체육문화센터에서 농구 연습을 마친 뒤 근처에서 붕어빵을 굽고 있다. 김홍준 기자

이주 여성 농구팀 '포위드투 글로벌 마더스'의 무용훙씨가 서울 용산구체육문화센터에서 농구 연습을 마친 뒤 근처에서 붕어빵을 굽고 있다. 김홍준 기자

한국에 오니 뭐가 좋은가요.
“좀 더 잘 살려고 왔는데, 버는 것보다 배우는 게 더 많아요. 다문화 친구 중 사기를 당한 친구도 있어요. 그래서 나 혼자 할 수 없다 싶으면 (다문화가정) 지원센터에 도움을 청해 배우곤 합니다. 경제·금융 관련이나 문화생활 같은 거죠. 배우다 보니 아이들에게도 교육이 중요하다는 걸 새삼 느껴요. 붕어빵 굽는 것도 애들을 위해서입니다.”
 

그래도 어려움이 적잖을 텐데요.
“제 발음을 듣곤 아예 귀를 닫고 무시하시는 분도 계세요. 정말 속상합니다. 중국에 있는 연로한 부모님을 뵈러 종종 오가야 해서 아직 귀화를 안 했을 뿐 저도 사실상 한국 사람인데도 말이죠. 한국어가 어렵긴 해요. 특히 병원에 가면 절감합니다. 증상을 표현하기가 쉽지 않아요. 전에 알레르기로 쓰러졌을 때도 내과에선 안과로, 안과에선 산부인과로 가라고 하더군요(웃음).”
 

아이들 학교생활은요.
“담임선생님 면담을 하러 처음 갔을 때 가슴이 쿵쿵 요동쳤어요. 괴롭힘을 당하는 다문화 아이들 얘기를 종종 들었거든요. ‘친구들하고 잘 지내네요’라는 선생님 말씀을 듣는 순간 울컥 눈물이 났어요. 속으로 ‘다행이다. 정말 다행이다’ 싶었죠.”
 
“참, 농구 경기는 어떻게 됐어요?” 무씨가 물었다. “하하, 졌구나.” 그가 다시 붕어빵을 건넸다. 이번엔 슈크림. “밥은 아니지만, 밥심이 없으니까 지는 거예요. 하나 더?”

그래픽=이현민 기자 dcdcdc@joongang.co.kr

그래픽=이현민 기자 dcdcdc@joongang.co.kr

2023년 우리나라 다문화 가구는 41만6000가구로 40만을 돌파했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35만 가구보다 19%나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가구 수 증가율 8.8%를 두 배 이상 웃돈다. 다문화가정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한국어와 문화 적응.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다문화가정이 한국 사회에 잘 정착할 수 있으려면 온·오프라인 교육을 통한 한국어·문화 적응 정책과 존중·배려 정책이 균형을 맞춰야 한다”며 “지원 인력도 다문화 인구를 늘려 친밀감을 높이면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