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트럼프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황 CEO를 만났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지난달 20일 대통령 취임식 당시 메타(페이스북·인스타그램 모기업)의 마크 저커버그,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애플의 팀 쿡,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등이 참석했지만 황 CEO는 참석하지 않았다.
트럼프와 황 CEO는 AI칩 수출 통제 강화 방안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엔비디아 등 미국 AI 업계가 직면한 상황, 중국과 경쟁에 이어 반도체 관세의 잠재적 영향까지 논의됐다고 한다.
트럼프는 면담 이후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은 채 황 CEO를 "신사"(gentleman)라고 부르며 "무슨 일이 일어날지 말할 수 없다. 우리는 만났고 좋은 만남이었다"고만 했다.
엔비디아 측도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반도체 및 AI 정책을 논의할 기회를 가져 감사하다"며 "황 CEO와 대통령은 미국 기술 및 AI 리더십 강화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는 '가성비' AI 모델을 발표해 개발 비용을 쏟아붓고 있는 미 테크 업계를 놀라게 했다. 딥시크엔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용으로 제작한 저사양 칩 H800이 사용됐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에 저사양 칩까지 수출 제한하는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다만 실제 규제까지 나오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