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씨 같은 중장년 재취업자는 한국 사회의 큰 화두다. 올해부터 954만명에 달하는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때문이다. 2차베이비부머는 1차 베이비부머(705만명)보다 수도 많은 데다, 특성도 달라 사회적으로 준비가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김경진 기자](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6/562b01b0-de74-47df-9a52-bcda24856283.jpg)
김경진 기자
직업도 2차 베이비부머는 전문가가 18.4%, 사무직이 15.4% 순이었다. 장치 기계 조립직(16.4%), 단순노무직(15.8%) 비중이 높았던 1차 베이비부머와는 달리 사무직 비중이 높은 게 특징이다.
사무직 70%는 재취업시 다른 직종으로 이직
![김경진 기자](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6/470c0658-4896-48b0-a145-ce05ee488d27.jpg)
김경진 기자
문제는 이런 고학력ㆍ사무직 근로자가 은퇴 후 자신의 경력을 살리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고용노동부가 2023년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 사무ㆍ서비스판매직은 재취업시 69.5%가 다른 직종으로 이동했다. 대다수가 손에 익지 않은 새 직업을 찾아야 했다는 의미다. 성재민 노동연구원 부원장은 “은퇴 인력의 고학력 사무직화는 계속되는 흐름이고, 2차 베이비부머는 어떻게 보면 시작점”이라며 “연금 수령 시기가 65세로 늦어지는 데다 생산활동인구도 줄어드는 만큼 이들이 계속 일하지지 않고 이탈해 버리면 노동시장에 충격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 자격증 지원 등 베이비부머 일자리 지원 나서
상대적으로 기술직보다 은퇴 뒤 재취업에 난항을 겪는 사무직?서비스직 중장년을 위해서는 ‘경력전환형 일자리’ 지원에 나선다. 고용부는 이미 지난해 소프트웨어(SW)테스터, 호텔 객실 인스펙터(점검원) 등 중장년 맞춤형 일자리를 기업 현장에 알선했다. 고용부는 이 같은 사례를 더 확산해 지역대학ㆍ연구기관과 함께 3년간 6000개의 중장년 일자리를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네이버ㆍ은행 등 수요가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현장훈련 등을 제공하는 ‘경력이음형 일자리’도 만든다.
은퇴 후 계획을 미리 세우지 않는 풍토는 법적 제도가 부족한 탓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고령자고용촉진법에는 기업의 재취업지원서비스가 명문화되어 있으나, 1000명 이상 대기업에만 적용되고 어겨도 사실상 패널티가 없다. 또 ‘정년퇴직, 이직, 사업장 폐업, 장기 실직자’가 대상으로 되어 있어 ‘낙인효과’를 두려워하는 근로자들이 참여를 꺼리는 게 현실이다. 최영범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 과장은 “법령 개정을 준비 중”이라며 “기업에 재취업지원서비스 비용 지원 및 컨설팅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