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신약 개발 AI' 만든다…치매·암 등 난치병 극복 도전

배경훈 LG AI연구원장(왼쪽)과 백민경 서울대 교수가 5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한 뒤 손을 맞잡고 있다. 사진 LG

배경훈 LG AI연구원장(왼쪽)과 백민경 서울대 교수가 5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한 뒤 손을 맞잡고 있다. 사진 LG

 
LG그룹이 인공지능(AI)과 바이오의 융합을 통해 치매와 암 등 난치병을 극복하겠다는 구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6일 LG AI연구원은 전날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차세대 단백질 구조 예측 AI’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단백질 다중상태(Multistate) 구조 예측 AI를 연내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면 ‘디지털 세포 지도’를 만들 수 있고, 이 지도는 질병의 원인을 알아내고 신약과 치료제를 개발하는 전 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글로벌 빅테크도 단백질 예측 AI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지만, 아직 단일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고 설계하는 단계다. 사람의 몸속에서 환경과 화학적 변화에 따라 다양한 상태로 존재하는 다중상태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하는 기술은 난제로 남아있다.

백 교수는 지난해 노벨 화학상을 받은 데이비드 베이커 미 워싱턴대 교수와 함께 ‘로제타폴드’를 개발한 연구자다. 로제타폴드는 AI로 단일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이다. 이순영 LG AI연구원 바이오지능랩장은 “난치병의 비밀은 단백질 구조에 숨어 있고, 그 복잡한 구조를 알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도전적 과제”라며 “이번 AI 개발로 질병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에 획기적인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 올해 신년사 영상 캡처. 사진 LG

구광모 LG그룹 회장 올해 신년사 영상 캡처. 사진 LG

 
LG그룹은 이번 공동연구가 미국 ‘잭슨랩’과 진행 중인 알츠하이머 인자 발굴 및 신약 개발의 속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LG AI연구원은 지난해 초부터 잭슨랩과 함께 알츠하이머·암의 진단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예측 AI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미래 성장동력으로 이른바 ‘ABC’(AI·바이오·클린테크)를 점찍고, AI와 바이오 융합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구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난치병을 치료하는 혁신 신약으로 사랑하는 사람들과 보다 오래 함께할 수 있는 미래에 도전할 것”이라며 바이오 사업 육성 의지를 밝혔다. 그는 2023년 8월 LG화학이 인수한 미 제약사 아베오를 찾아 “LG는 늘 10년, 20년을 미리 준비해 새로운 산업을 주도해 왔다”며 “LG의 바이오 사업이 지금은 비록 작은 씨앗이지만 노력하고 도전해 나간다면 LG를 대표하는 미래 거목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