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이 대표는 "민주적 공화국의 문을 활짝 열겠다"며 "그 첫 조치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의 이같은 제안에 발맞춰 친명계 박주민·최민희 의원 등은 국민소환제 도입 법률안을 발의한 상황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회복과 성장'을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0/7df2b553-775b-496d-8208-962646d7aa14.jpg)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회복과 성장'을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뉴스1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 대표의 연설을 두고 "소설 '1984'를 보면 선전·선동하는 부처 이름이 진실부, 고문하는 부서 이름이 애정부다. 그런 생각이 얼핏 난다"며 이 대표의 발언을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듣던 중 최형두 비대위원과 대화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0/23ff1411-1b25-45de-8176-86ce63a0674b.jpg)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듣던 중 최형두 비대위원과 대화하고 있다. 뉴스1
김대식 원내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화려한 수사로 가득 찼지만, 정작 국민이 듣고 싶은 실천 계획과 책임 있는 행동은 없었다"고 평가절하했다. 또한 과거 이 대표가 불체포특권을 포기하겠다고 했다가 이후 체포동의안 부결을 호소한 점을 언급하며 "3개월 뒤에는 본인에 대한 국회의원 국민소환을 부결시켜달라고 호소할 것인가"라고 비꼬았다.
국민의힘 일부 초선 및 소신파 의원들은 국민소환제 도입 필요성을 수긍했다. 김상욱 의원은 "공정성을 담보해야 하는 법관 등은 임기를 보장해야 하지만, 국민의 지지로 공직을 수행하는 (국회의원 등) 선출직은 국민이 소환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민주주의의 당연한 귀결"이라며 찬성 입장을 밝혔다.
국민의힘의 친한동훈계 인사들의 모임인 '언더73' 소속 의원은 입장문에서 "한동훈 전 대표도 이미 당 대표 후보 시절 민주당이 검사 탄핵을 추진할 때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을 검토하자고 말했다"며 "당장 2월 중 여야 합의로 국민소환제를 도입하고 첫 대상자로 이 대표를 지정해 투표를 실시하자"고 촉구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국민소환제가 특정 정파에 의해 악용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그는 페이스북에서 "국정 혼란 수습을 위한 개헌 논의는 외면하고, 극성 지지자를 동원해 정적을 제거하겠다는 게 책임 있는 해법인가"라며 우려를 표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국민소환제는 요건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제도가 된다"며 "지방자치단체장처럼 10% 서명만으로 발동되도록 하면 이 대표 같은 국민적 호불호가 강한 정치인은 쉽게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검토가 충분히 이뤄졌는지 궁금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대표가 함께 제안한 주4일제에 대해서도 부정적 반응을 보이며 "노동자 입장에서는 선호할 수 있지만, 자영업자 입장에서는 날벼락 같은 이야기일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조국혁신당은 이 대표의 국민소환제 제안을 적극 환영하며, 이를 포함한 정치개혁 논의를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보협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국민소환제 도입 제안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결선투표제 도입, 교섭단체 요건 정상화 등 양극단 정치의 부작용을 줄일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