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 팔리 포드자동차 최고경영자(CEO).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2/f107b3d2-df0f-4c4f-9694-b06f4e7b6c4f.jpg)
짐 팔리 포드자동차 최고경영자(CEO). 로이터=연합뉴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팔리는 이날 미국 뉴욕에서 울프 리서치가 주최한 자동차산업 콘퍼런스에 참석해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로 미 자동차 업계는 이제껏 겪어보지 못한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 자동차 업체를 위한다며 투하한 '관세폭탄'이 오히려 자신들의 생산 거점에 집중적으로 떨어져 피해를 보고 있다는 불만이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차량의 약 16%는 멕시코에서, 약 7%는 캐나다에서 생산됐다. 그런데 이들 국가에 25%나 되는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 후폭풍이 엄청날 것이란 주장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에 국경 보안 및 펜타닐 마약 유입 문제 등을 이유로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다가, 양국으로부터 보완 조치를 약속받고 한 달 간 유예한 상태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자동차산업을 강하게 만들고 미국의 자동차 생산을 늘리겠다고 말해왔지만, 지금까지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큰 비용과 많은 혼란"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는 이와 비슷한 관세를 적용 받지 않는 아시아와 유럽 경쟁사들에 횡재가 될 것"이라고 했다.
앞서 그는 지난 7일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 현장에서 한국의 현대·기아차, 일본의 토요타 등 특정 경쟁사들의 이름을 거론하며 "왜 이들에게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느냐"고 강하게 문제 제기했었다. 당시 그는 "연간 수십만 대의 차를 수출하고 있는 토요타와 현대차는 사실상 관세 없이 차를 팔고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가 자동차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관세를 시행하려면 모든 국가를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1월 30일 멕시코 멕시코주 쿠아우티틀란 이즈칼리의 미국 포드 공장 차량들의 모습. AFP=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2/72a40b00-21df-4c7e-9367-c5376c5ab4cd.jpg)
지난 1월 30일 멕시코 멕시코주 쿠아우티틀란 이즈칼리의 미국 포드 공장 차량들의 모습. AFP=연합뉴스
전기차 인센티브 폐지 유예도 요청
팔리는 이번 콘퍼런스에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근거한 전기차 인센티브(세액공제)를 일부 유지해 달라는 입장도 피력했다. 블룸버그는 소식통들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는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를 검토 중인데 이를 '3년 간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해 달라는 게 미 자동차업체들의 요청"이라고 전했다. 업체들은 3년의 유예 기간을 두면, 이후엔 연방정부 지원 없이도 자체적으로 전기차 가격을 낮춰 판매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포드·GM(제너럴모터스) 등은 현재 이 사안을 놓고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 의원들을 상대로 로비도 펼치고 있다. GM의 메리 바라 CEO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논의했고, 팔리도 연방 의원과 연방정부 관료들을 만나기 위해 12일 워싱턴 DC를 방문한다. 이들은 공화당 강세의 조지아·앨라배마 등에 전기차와 배터리 공장이 많다는 점을 내세울 계획이다. 전기차 인센티브를 갑자기 폐지하면 가격 상승을 초래해 이들 지역의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