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이후 전북 김제시 성덕면 공동묘지 사이에서 가마니와 거적 등으로 움막을 지어 피난민처럼 생활한 개미마을 주민. 사진 개미마을 대표 김창수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3/c3422c13-9dc3-4970-bc08-473ea56335e5.jpg)
1976년 이후 전북 김제시 성덕면 공동묘지 사이에서 가마니와 거적 등으로 움막을 지어 피난민처럼 생활한 개미마을 주민. 사진 개미마을 대표 김창수씨
권익위, 김제시-주민 서면 조정
김제시는 13일 "지난 6일 국민권익위원회(권익위)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민원인(개미마을 주민 대표)과 김제시장 간 서면 조정을 통해 시 소유 공유지를 점유해 사용하고 있는 개미마을 주민들에게 해당 토지를 매각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권익위 등에 따르면 1976년 3월 당시 김제군(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동마을에 살던 32가구 주민 100여명은 산림 황폐화를 막기 위해 시행된 화전 정리 계획에 따라 공동묘지로 사용되던 현 마을로 강제 이주했다. 금동마을 주민은 "마을 역사가 100년이 넘고, 우린 화전민이 아니다"고 호소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하루아침에 집을 잃은 이들은 스스로 '개미'라 부르며 묘지 사이에 가마니로 움막을 짓고, 땅을 개간해 살며 현재 마을을 이뤘다. 1세대는 대부분 사망했고, 현재 70~80대 20여명이 살고 있다고 김제시는 전했다.
![1976년 당시 김제군(현 김제시) 성덕면 공동묘지로 쫓겨난 금동마을 주민들이 흙벽돌로 집을 짓고 있다. 사진 개미마을 대표 김창수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3/7eec782a-703a-48af-9151-da932a482039.jpg)
![정부의 화전 정리 사업으로 공동묘지로 쫓겨나 움막을 짓고 산 개미마을 주민. 사진 개미마을 대표 김창수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3/1062adc1-dc32-48dd-8b20-ab8a82d94b99.jpg)
시 공유지 주민에 매각하기로
이에 권익위는 그동안 10차례 실지 조사와 김제시·산림청·전북특별자치도 등 관계 기관과 협의 끝에 공유지 매각 문제를 먼저 해결하는 조정안을 마련했다. 조정안에 따르면 김제시는 점·사용 공유지 중 1000만원 미만 토지는 개별공시지가로, 1000만원 이상 토지는 감정평가금액으로 매각하되 산출된 금액에서 30% 감액해 매각하기로 했다.
김제시 관계자는 "당시 화전정리법상 화전 경작지에서 이주할 때엔 주택 건축과 농경지 확보 비용 등을 보조 또는 융자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었으나, 당시 이주 보상비가 김제군 1년 예산의 22.5%에 달해 제대로 지급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김제시는 1977년부터 2019년까지 5차례에 걸쳐 개미마을 주변 분묘(무덤) 정리를 마무리했다. 2022년엔 개미마을 실제 점유 현황과 지적도면 경계를 일치시키는 지적 재조사 사업을 추진했다.
![정성주 김제시장이 지난해 4월 10일 김제시 성덕면 개미마을을 방문, 주민들을 만나 요구 사항을 듣고 있다. 사진 김제시](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3/ffa39fcd-9cbe-4032-b5e0-03fb428b51f1.jpg)
정성주 김제시장이 지난해 4월 10일 김제시 성덕면 개미마을을 방문, 주민들을 만나 요구 사항을 듣고 있다. 사진 김제시
주민 "전북자치도 사과와 진상 규명 필요"
정성주 김제시장은 "이원택(군산시·김제시·부안군을) 국회의원과 전북자치도·산림청과 함께 개미마을 주민 피해 구제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화전 정리 사업
박정희 대통령은 1974년부터 5년간 산림청 주관 하에 보사부(현 보건복지부)·내무부(현 행정안전부)·농수산부(현 농림축산식품부) 협조를 얻어 화전(火田) 정리 사업을 추진했다. 합법적인 절차 없이 산림을 개간해 농경지로 사용하던 화전을 정리해 토사 유출을 막고 산림 자원을 조성해 국토의 황폐화를 방지하는 게 목적이었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 사업으로 1979년까지 정리 대상 화전지 4만1132ha가 산림으로 복구되거나 농경지로 인정받았다. 이 과정에서 화전지에 살던 13만4817가구 주민은 농경지 소유권을 이양받아 현지(12만8220가구)에 정착하거나 다른 마을(6597가구)로 이주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1974년부터 5년간 산림청 주관 하에 보사부(현 보건복지부)·내무부(현 행정안전부)·농수산부(현 농림축산식품부) 협조를 얻어 화전(火田) 정리 사업을 추진했다. 합법적인 절차 없이 산림을 개간해 농경지로 사용하던 화전을 정리해 토사 유출을 막고 산림 자원을 조성해 국토의 황폐화를 방지하는 게 목적이었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 사업으로 1979년까지 정리 대상 화전지 4만1132ha가 산림으로 복구되거나 농경지로 인정받았다. 이 과정에서 화전지에 살던 13만4817가구 주민은 농경지 소유권을 이양받아 현지(12만8220가구)에 정착하거나 다른 마을(6597가구)로 이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