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父, 퇴직후 가족 몰래 일 하시다…" 반얀트리 화재 유족 눈물

14일 오후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복합리조트 신축 공사장에서 발생한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이 잔불을 진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14일 오후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복합리조트 신축 공사장에서 발생한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이 잔불을 진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호텔 신축 공사장 화재사고 유족이 사고 원인과 책임 소재를 명확히 밝혀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1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번 사고로 숨진 작업자 A씨의 유족은 이날 해운대구 한 장례식장에서 "사고를 당한 이유를 알고 싶은데 아무도 이야기해 주지 않고 회사는 장례부터 치른 뒤 합의하자는 식"이라며 "병사도 아니고 어떻게, 왜 돌아가셨는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장례를 치르냐"고 말했다.

이어 "불이 날 만한 환경에서 작업할 때 안전 수칙이 제대로 지켜졌는지, 왜 우리 가족만 빠져나오지 못했는지, 공사 기한이 얼마 남지 않아 회사에서 재촉한 부분은 없었는지 궁금하다"며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꼭 밝혀져야 한다"고 했다.

A씨의 딸은 "아버지가 부산의 한 공공기관에서 일하다 퇴직했는데 돈을 벌기 위해 엄마와 저도 모르게 일을 가신 것 같다"며 "아버지의 동료에 따르면 굳이 일주일 내내 나와서 일을 하셨다고 한다"고 비통해했다.

또 다른 사망자 B씨의 삼촌은 "원청 업체에서 일용직 노동자는 산재보험 가입도 안 해놨다고 한다"며 "원청 기업 관계자들에게 회사가 일용직 노동자에 대해 산재보험에 가입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물으니 횡설수설하더라. 그러더니 장례부터 치르라고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별도로 확인해 보니, 원청은 법적으로 일용직 노동자에 대해서도 산재보험에 가입하고 보험료를 내야 한다"며 "여기 있는 가족들은 갑작스러운 사고로 경황이 없어 회사만 믿고 일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런 식의 태도를 보이면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토로했다.

전날인 14일 오전 10시 51분쯤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호텔 신축 공사 현장에서 불이 나 6명이 숨지고, 27명이 연기 흡입 등 경상을 입었다. 경찰은 시공업체와 현장 책임자, 작업자 등에 대한 조사를 이어가는 한편, 사망자 전원에 대한 부검을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