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또 사상 최고…온스당 3000달러 눈앞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발 ‘관세 폭탄’으로 미국 내 물가상승률이 다시 오를 수 있다는 우려에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안전자산 수요가 증가하면서 금의 가격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계속해서 최고치를 새로 기록하고 있다.

19일 서울 종로구 한국표준금거래소 공장에서 직원이 골드바 주조 작업에 앞서 5kg분량의 금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19일 서울 종로구 한국표준금거래소 공장에서 직원이 골드바 주조 작업에 앞서 5kg분량의 금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20일(현지시간) 한때 금 선물은 온스당 2972.5달러까지 치솟았다. 3000달러에 육박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2950달러 선으로 내려오긴 했지만 금 가격은 상승세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불과 1년 전보다 44% 상승했고, 올해 초와 비교해도 상승률이 10.6%에 달한다.

금 가격이 오르는 건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중국 등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힌 것을 시작으로 관세 폭탄을 잇달아 내놓고 있어서다. 지난 18일엔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무역 전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이에 따라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했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물가상승률을 끌어올리게 되는 만큼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서의 매력도 금 사재기를 부추긴다. 물가가 오르면 화폐 가치는 떨어지지만, 실물자산인 금은 물가와 같이 가격이 올라 물가 상승 위험 회피(헤지) 수단으로 여겨져 왔다. JP모건은 “관세가 인플레이션 위험을 고조시킬 것으로 예상한다”며 “헤지 수단으로 금 매입이 계속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독재자라고 비난하고 정권 교체까지 압박하면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긴장까지 고조되고 있다. 안전자산인 금값이 앞으로 더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올해 금값 전망치를 온스당 2890달러에서 31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