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해 변호인과 대화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찬탄파는 중도 확장성을 적극 강조 중이다. 조기 대선 출마 뜻을 밝힌 유승민 전 의원은 20일 보도된 언론 인터뷰에서 “승부를 결정짓는 건 중도층이 될 것”이라며 “지난 총선도 ‘중·수·청(중도·수도권·청년)’을 못 잡아서 참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강점으로 “중도에서의 확장력과 파괴력”을 꼽았다.
한동훈 전 대표는 조만간 『국민이 먼저입니다』를 출간하고 본격 행보를 시작한다. 책엔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대표 사퇴까지 14일간의 한 전 대표 행적이 담긴다고 한다. 저자 소개에 자신의 21년 검사 경력을 빼는 등 윤 대통령과의 적극적 차별화도 시도 중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다음달 출간 예정인 저서에 ‘디딤돌 소득’과 같은 사회적 약자 정책 등 역점 사업 추진 경험을 소개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들의 공통점은 탄핵 찬성으로 인해 강성 보수층에서의 지지 강도가 낮다는 점이다. 그래서 약점으로 꼽히는 당심 잡기를 병행하고 있다.
최근 오 시장은 연일 헌법재판소의 불공정 논란을 지적하고, 더불어민주당의 입법 독주를 비판하는 등 집토끼 겨냥 발언 빈도를 늘렸다. 11일 페이스북엔 “헌재가 절차상 정당성과 공정성을 잃으면 그 결과는 극심한 국론 분열”이라고 썼고, 14일엔 “29번의 줄 탄핵으로 헌정질서를 흔들었던 민주당이 이제는 감사원마저 정쟁의 수단으로 삼고 있다”고 했다.
유 전 의원은 18일 JTBC 유튜브 방송에서 “선거나 정치 스케줄을 떠나 박근혜 전 대통령과 저 사이에 쌓인 오해를 언젠가 진짜 인간적으로 풀고 싶다는 마음을 늘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보수 진영에서의 ‘배신자’ 프레임을 극복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한 전 대표 측근인 신지호 전 의원은 같은 날 라디오에서 “당원들에게 달걀 세례를 받을지라도 한 전 대표가 느낀 회한을 진솔하게 당원과 나누는 시간이 있을 것”이라며 “만약의 조기 대선 승리를 위해선 강성 보수부터 온건, 중도를 합친 대연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왼쪽 셋째)이 19일 국회에서 개최한 ‘2030·장년 모두 윈윈(win-win)하는 노동개혁 대토론회’에 권영세 비대위원장(왼쪽), 권성동 원내대표(왼쪽 둘째) 등 여당 의원 60명이 참석했다. 오른쪽은 이날 기조연설을 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연합뉴스
반면 반탄파 잠재 주자들은 겉으로는 윤 대통령 탄핵을 전제로 하는 ‘조기 대선’ 언급을 삼가면서도, 탄핵 인용에 대비한 ‘플랜B’를 암중 모색하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을 비롯한 반탄파 인사들은 탄핵엔 반대하지만,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가 부적절했다는 뜻은 분명히 하는 방식으로 최후의 선은 지키려 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강하게 제기하는 부정선거 의혹에도 “선거관리위원회가 부정을 가릴 행정적 책임이 있다”(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는 식으로 에둘러 답하고 있다.
찬탄파와 반탄파 모두 신중한 모습을 보이는 건 국민의힘 대선 경선 규칙이 민심과 당심을 모두 잡지 않으면 이겨내기 어렵게 설계된 탓이다. 현행 국민의힘 경선 규칙은 당원 투표와 일반 여론조사를 절반씩 반영하도록 돼 있어 당심과 민심 모두 후보 선출에 큰 영향을 끼친다. 당 관계자는 “만약 조기 대선이 열린다면 경선 준비 기간이 짧아 각 후보의 이해상충이 큰 경선 룰 변경은 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