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월례 간담회에서 향후 제4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일정에 대해 “향후 일정을 확정할 수는 없지만 과거 사례로 보면 예비인가가 나는 데 까지 3개월 정도가 걸렸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뉴스1
27일 금융위원회는 25일부터 전날까지 접수한 예비인가 신청 결과를 공개했다. 예비인가 심사 결과는 오는 6월 발표할 예정이다. 예비인가를 받은 사업자가 인적·물적 요건을 갖춰 본인가를 받으면 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에 이어 4번째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영업할 수 있다.
신청서를 제출한 4곳 중 소호은행이 인가 경쟁에서 가장 앞서고 있다. 소호은행 컨소시엄엔 한국신용데이터를 중심으로 하나‧우리‧농협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 중 3곳이 합류했다. BNK부산은행과 OK저축은행, 유진투자증권, 우리카드 등 금융사까지 컨소시엄에 참여한 상태다. 한국신용데이터는 소상공인 170만 명이 사용하는 경영관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이다. 이를 기반으로 신용평가모형도 제공한다. 그러다 보니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자금 공급에 장점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소소뱅크는 I.T, 소상공인전국연합회(소액주주연합), 리드코프 등이 주주로 참여했고, 포도뱅크 컨소시엄엔 한상, 메리츠증권, 메리츠화재, 군인공제회 등이 포함됐다. AMZ뱅크는 주주 구성을 추후 확정할 계획이다. 당초 더존뱅크와 유뱅크 등도 4인뱅 인가에 뛰어들 예정이었지만, 접수를 앞두고 철회하거나 연기하면서 소호은행의 1강 체제가 굳어졌다.
예비인가 여부는 민간 외부평가위원회를 비롯한 금융감독원 심사를 거친 뒤 금융위에서 최종 결정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자금 조달의 안정성, 사업계획의 혁신성과 포용성, 그 실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