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환 금융위윈회 위원장(왼쪽)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뉴스1
김 위원장은 “지난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국내외 경제·산업과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다음 정부 출범까지 2개월여 동안 우리 경제와 금융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라면서 “금융당국도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성 공급 등 필요한 조치가 언제든 취해질 수 있도록 약 100조원 규모의 시장안정프로그램 준비와 집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지난 2022년 하반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시장안정프로그램을 마련했었다. 채권시장 안정을 위한 채권안정펀드와 증시 안정을 위한 증시안정펀드, PF 사업자 보증 등에 약 50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이 골자다. 이후 해당 프로그램 자금은 약 94조원대로 확대해 운영 중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시장 안정뿐 아니라 상호관세로 인해 피해를 본 기업들에 대한 지원도 논의됐다. 김 위원장은 “기존에 발표했거나, 현재 추진 중인 정책들은 당초 계획과 일정대로 차질 없이 추진하여 시장 신뢰를 확고히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금융위는 “통상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추진하고 있는 50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 조성에 더 박차를 기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이날 회의에 참석한 민간 금융사에 대한 역할도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이럴 때일수록 금융이 그 본연의 기능을 보다 충실히 해 시장 안정을 유지하고 금융중개가 차질 없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며 “금융지주회사와 정책금융기관들이 중심이 되어 금융시장 안정과 함께 기업 등 실물 부문에 대한 자금 지원에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이날 회의 직후 주요 금융그룹들은 별도 자체 회의를 가지고 금융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KB금융그룹은 양종희 회장 주재로 그룹 임원 전원이 참석하는 긴급회의를 가지고 8조원 규모의 금리 우대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 신한금융그룹은 진옥동 회장 주재로 그룹 위기관리위원회를 소집했다. 수출기업과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으로 10조5000억원원의 금융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중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6조4000억원의 대출지원과 3조원 규모의 특별 금리 인하 혜택도 제공할 방침이다. 하나금융그룹은 그룹과 주요 계열사 임원들이 참석하는 위기상황관리협의회를 열고, 중소기업 우대 장기 대출 한도를 3조원 증액하는 등 6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우리금융그룹도 임종룡 회장 주재로 열린 정례 주간회의에서 상호관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또 우리은행은 별도의 리스크관리위원들이 참석한 긴급 위기대응협의회를 개최했다. NH농협은행은 강태영 은행장 주재의 긴급현안회의를 열어 시장 상황과 대응전략을 공유했다.
한국은행은 유상대 부총재 주재로 ‘비상대응 테스크포스(TF)’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서 유 부총재는 “미 관세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고 예상보다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24시간 점검체제를 통해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하면 가용한 시장 안정화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