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업시장 둔화가 이어지며 올해 3월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수 증가 폭이 3월 기준으로는 27년 만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올해 3월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수 증가 폭이 3월 기준으로는 통계 집계 이후 27년 만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급여 지급자와 지급액은 4년 만에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43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만4000명(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노동부는 고용보험 피보험자 집계를 1997년 시작해 1998년부터 증감률을 계산하고 있는데 1998년 이후 27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증가했으나 건설업이 감소했다.
건설업 가입자 수는 75만4000명으로 종합건설업을 중심으로 20개월 연속 줄었다.
외국인력 도입 확대 등으로 전체 업종 외국인 가입자는 1년 전보다 2만4000명 증가한 25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천경기 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좋은 일자리라고 평가되는 제조업 일자리는 현재 계속 감소하고 있지만 금융이나 정보통신업 등 서비스업에서는 고용 상황이 좋아지고 있다"며 "전체적으로 볼 때는 노동시장 자체가 고령화돼 취약성을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3월 구직급여(실업급여) 신규신청자는 13만7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000명(4.6%) 증가했다.
구직급여 지급자는 69만3000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3만8000명(5.9%) 늘었다.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510억원으로 815억원(8.4%) 늘었다.
구직급여 지급자와 지급액 모두 2021년 3월 이후 4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