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 일반 유상증자 2.3조로 축소…'승계 논란' 정면돌파

김승연 한화 회장. 사진 한화

김승연 한화 회장. 사진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일반 유상증자 규모를 당초 발표한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축소하기로 했다. 대신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이 100% 보유한 한화에너지가 1조30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유상증자 자금이 대주주 경영권 승계에 이용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해소하고, 주주 달래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8일 유상증자 정정 공시를 통해 발행 금액을 2조3000억원으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축소된 1조3000억원은 한화에너지와 자회사인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싱가폴 등 3개사가 참여하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상증자 공시 1주일 전 해당 3개사로부터 한화오션 지분 7.3%를 약 1조3000억원에 매입했었다. 이를 두고 그룹 내부의 지분 정리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조 단위 현금을 지출한 직후 주주들에게 손을 벌렸다는 비판이 거셌다. 금융감독원은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하며 제동을 걸었다.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한화오션 지분 매각대금 1조3000억원을 다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되돌려 놓기로 한 것이다.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한화 측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와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경영권 승계 계획과 무관하다고 강조한다. 이재규 한화에너지 대표는 “1조3000억원 조달 목적은 승계와 무관한 재무구조 개선 및 투자재원 확보였고, 실제 자금 일부가 차입금 상환과 투자에 쓰였다”며 “불필요한 승계 논란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방식이 확정되면 한화에너지는 이달 안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주식을 시가로 매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할인 없이 참여한다는 방침이다.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소액주주들은 15% 할인 가격으로 주식을 살 수 있다. 한화 관계자는 “한화에너지 대주주가 희생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소액주주가 이득을 보게 되는 조치”라며 “시가로 주식 매수에 나서는 점은 주가 상승에도 긍정적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날 코스피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전 거래일 대비 5만6000원(8.72%) 오른 69만8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앞서 김 회장은 지난달 31일 ㈜한화 지분 22.65%의 절반인 11.32%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김동원 한화생명 사장·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에게 증여하기로 결정하는 등 승계 논란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한화 측은 2000억원이 넘는 증여세도 성실히 내겠다고 밝혔다.

안병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략총괄 사장이 8일 오전 서울 중구 한화그룹 본사에서 열린 '한화에어로 미래 비전 설명회'에서 중장기 투자 계획 및 최근 유상증자 관련 입장 발표를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뉴스1

안병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략총괄 사장이 8일 오전 서울 중구 한화그룹 본사에서 열린 '한화에어로 미래 비전 설명회'에서 중장기 투자 계획 및 최근 유상증자 관련 입장 발표를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뉴스1

 
안병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략총괄 사장은 이날 서울 중구 한화그룹 본사에서 미래비전 설명회를 열고, 유상증자 발표 이후 투자 계획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다는 비판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안 사장은 “경영상 판단에 따라 유상증자를 추진했지만, 여러 이해관계자분들께 충분하게 설명해 드리지 못했다는 것을 뼈아프게 깨닫고 반성했다”며 “주주 가치 제고를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생각하고 앞으로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4년간 11조원을 투자해 2035년까지 매출 70조원, 영업이익 10조원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매출 증대를 위한 해외투자(6조2700억원) ▶신규 시장 진출을 위한 연구개발(R&D) 투자(1조5600억원) ▶지상 방산 인프라 투자(2조2900억원) ▶항공우주산업 인프라 투자(9500억원) 등의 투자 계획을 밝혔다. 안 사장은 “글로벌 안보 위협이 증가하면서 각국의 방위산업 자국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해외 현지 생산기지 확보와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은 생존을 위한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유상증자 외에 회사채 발행 및 차입으로 7조5000억원을 조달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회계상 부채로 잡히는 수주 대금 선수금 때문에 추가적인 자금 차입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안 사장은 “지난해 별도 기준 부채비율이 393%에 달한다”며 “선수금 비율이 40% 이상이라 재무적 위험은 없지만, 해외 고객이 높은 부채비율을 문제 삼으면 수주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라고 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