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등 12개 단체 "금주에 3058명 확정해달라" 교육부에 공문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의협)를 비롯한 의료 관련 12개 단체가 이번 주 안에 의대 정원을 증원 전 규모인 3058명으로 확정해 발표하라고 정부에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의학교육협의회는 7일 이런 내용을 감은 '의과대학 학사 정상화를 위한 협조 요청' 공문을 교육부에 보냈다. 

의협은 이어 8일 정례 브리핑에서 2026년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하는 게 맞다는 입장을 내놨다. 의협이 3058명에 동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의협은 그동안 "더 적게 뽑거나 아예 뽑지 않아야 한다(0명)"고 주장해왔다. 

협의회는 공문에서 "늦어도 이달 둘째 주까지 수업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학사 운영에 큰 어려움이 발생한다"며 "이번 주 중에 정부에서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3058명으로 확정해서 발표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협의회는 "정부가 2026년 의과대학 모집 인원을 3058명으로 동결하기로 수용한 것은 의료계와 교육계의 다양한 논의를 반영한 중요한 조치라고 생각한다"며 "이 덕분에 학생들이 (모두) 등록하여 제적되는 상황을 막았다"고 설명했다.

이진우 협의회 회장(대한의학회장)은 "학생들이 등록했으나 상당수가 수업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정부가 약속한 대로 내년도 입학 정원을 3058명으로 빨리 확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1996년 설립된 협의회엔 의사협회, 병원협회, 의학회, 의학교육평가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의사협회는 8일 브리핑에서 협의회와 같은 입장을 확인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기본적으로 저희가 모집 인원 내지 정원이 어쨌든 2026년에 의과대학에 들어올 수 있는 인원은 3058명 정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각 대학에서 판단을 해서, 교육부에서 실사를 해서, 앞으로 6,7년 동안 교육이 불가능하겠다고 생각하면 2026년에 안 뽑는 데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이런 의견들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교육 여건을 판단하고, 교육 시설이나 부속병원 등의 여건을 확인해서 정확한 판단을 내려주길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은 "‘(복귀) 안 하면 의대 정원은 다시 5058명(2000명 증원을 의미)을 뽑을 것'이라는 식의 언사는 앞으로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협의회는 2월 말 교육부에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동결(3058명)해 달라고 요청했고, 정부가 이를 받아들였다. 당시 협의회가 건의할 때는 12개 단체 중 의사협회·병원협회·개원의협의회·의과대학교수협의회가 빠졌지만 이번에는 모두 참여했다. 

협의회 측의 제안에 교육부는 수업 거부 중인 의대생의 복귀를 전제 조건으로 내년도 정원을 3058명으로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학생들이 1학기 등록을 하고 수업에 실제 참여해야 복귀한 것으로 본다고도 설명했다. 

하지만 현재 대다수 의대생들이 등록을 한 상태이나, 서울대 의대 등을 제외하곤 수업에 제대로 참여하지 않는 분위기다. 이 때문에 협의회가 다시 나선 것이다. 교육부는 7, 8일 의대생들의 수업 참여 현황을 보고 3058명을 확정할지 말지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