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위안화 지폐와 미·중 양국의 국기. 로이터
중국 상무부는 8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이 보복관세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50%의 추가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압박에 “끝까지 맞서겠다”고 강조했다. 상무부는 이날 대변인 명의의 담화를 내고 “중국은 미국이 대중국 50% 관세 추가 인상을 위협한 것에 주목했으며, 이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미국이 만일 격상한 관세 조치를 시행한다면 중국은 단호히 반격 조치로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만일 미국이 고집만 내세운다면 중국은 반드시 끝까지 맞설 것”이라며 결사 항전을 다짐했다.
구체적인 보복 조치도 공개했다. 관영 신화사의 SNS인 ‘뉴탄친(牛彈琴)’은 이날 미국 관세에 대한 최신 대응책 소식이 있다며 여섯 가지 조치를 예고했다. 첫째, 대두·수수 등 미국 농산물 관세를 대폭 인상한다. 둘째, 조류인플루엔자를 근거로 미국산 닭고기와 가금류 수입을 금지한다. 셋째, 펜타닐 협력을 중단한다. 넷째, 미국기업의 정부 조달 참여를 제한하고 법률과 컨설팅 등 서비스 무역에서 대응 조치를 취한다. 다섯째, 미국 영화 수입을 줄이거나 금지한다. 여섯째, 미국 기업이 중국에서 지식재산권으로 얻은 이익의 독점 여부를 조사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과 담판에 대한 환상을 버리고 대결을 우선하는 방침을 세웠다는 분석도 나왔다. 7일 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요행을 바라지 않고 충격에 대비한 모든 준비를 마쳤다”는 사설을 1면에 게재했다. 블룸버그는 8일 인민일보 사설을 소개하며 “협상에 대한 환상에 집착하지 않겠다는 선언”이라며 “시진핑 주석이 무역 협상 가능성이 작아지자 전투 모드로 돌아섰다”고 분석했다.
중국 전문가도 “선전투 후담판”을 전망했다. 우신보(吳心伯) 상하이 푸단대 국제문제연구원장은 “트럼프 1기와 비교해 이번 타격은 재정과 화폐정책 등 각종 부양조치가 마련된 ‘준비된 전쟁’”이라고 평가했다. 우 원장은 “트럼프라는 ‘사자의 커다란 입’에 직면한 중국이 싸우지도 않고 담판한다면 패배일뿐 아니라 앞으로 요구가 끝이 없을 것”이라며 “‘먼저 싸우고 나중에 담판한다’는 방침을 확고히 세웠지만 다른 중소 국가들은 미국에 맞설만한 힘과 전략적 의지가 없다”고 분석했다.
32%라는 고율의 상호관세 폭탄을 맞은 대만은 부총리격인 부행정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협상팀을 미국에 파견할 방침이다.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은 8일 정리쥔(鄭麗君) 부행정원장이 이끄는 담판팀이 미국에서 상호 제로관세 실현을 위한 담판에 착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국제 담판 경력이 풍부한 차이잉원(蔡英文) 전 총통 혹은 주미대표를 역임한 샤오메이친(蕭美琴) 부총통에게 미국과 관세 협상의 지휘를 맡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이 지난 2일 중국사회과학원 산하 공공정책연구센터를 폐쇄했다. 베이징 창안대가에 자리한 중국사회과학원 전경. 중국사회과학원사이트 캡처
中 "보복관세는 제 발등 찍기" 비난에 기관 폐쇄 철퇴
6일 중국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는 “공공정책연구센터는 독립적인 법인자격이 없는 비(非)실체 연구센터”라며 “겸직 연구자는 원직으로 복귀하고, 외부 초빙 인원과 전문가는 협력관계를 중지한다”는 기관 폐쇄 성명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