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1월 19일 오전 대구 도심에서 한 노인이 보행보조기에 의지한 채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뉴스1
국내 장애인 2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노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중 고령층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장애인 복지에서도 ‘고령화’가 주요 과제가 될 전망이다.
17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도 등록장애인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등록장애인은 총 263만1356명으로, 전체 인구의 5.1%를 차지했다. 전년도(2023년) 말 기준 263만3262명에 비하면 1906명 감소했다. 등록장애인은 진단·심사 결과를 거쳐 국가에 등록된 장애인을 뜻한다. 15개 장애유형별로 보면 지체장애(43%)가 가장 비중이 크고, 이어 청각장애(16.8%), 시각장애(9.4%), 뇌병변장애(8.9%), 지적장애(8.9%) 순이었다.
전체 등록장애인 숫자는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가운데, 고령층 비중은 매년 꾸준히 증가 추세다. 지난해 등록장애인을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23.6%로 가장 많고, 이어 70대(22%), 80대(17.5%) 순이었다.
65세 이상 비율을 보면, 2020년만 해도 49.9%로 절반에 못 미쳤으나, 2023년 53.9%에서 지난해 55.3%까지 증가했다. 지난해 신규 등록장애인(8만5947명) 중에서도 70대(25.2%), 60대(21.1%), 80대(19.4%) 순으로 비율이 높아 고령층이 많았다.

65세 이상 등록장애인 비율이 꾸준히 증가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보건복지부
나이에 따라 주로 보이는 장애 유형에도 차이를 보였다. 65세 이상은 지체(46.6%) 장애 비중이 압도적이고, 이어 청각(25.3%) 장애가 많다. 65세 미만에서도 지체(38.7%) 장애 비중이 가장 높은 건 동일하지만, 발달 장애가 18.5%(지적 18.5%, 자폐성 4%)로 두 번째로 많은 점이 두드러졌다.
보건복지부 손호준 장애인정책국장은 “인구감소·고령화의 영향으로 등록장애인 수의 감소와 65세 이상 장애인 비율의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등록장애인의 현황 변화 추이를 면밀히 검토해 적합한 장애인 정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