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권리보장원 "국가 책임 입양체계로 개편 안착 지원할 것"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이 8일 오전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사진 아동권리보장원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이 8일 오전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사진 아동권리보장원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은 국내입양특별법 시행을 오는 7월 앞두고 "국가가 책임지는 공적 입양체계로의 개편이 안정적으로 안착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 원장은 8일 오전 서울 중구 아동권리보장원에서 취임 2주년을 맞아 연 기자간담회에서 "개편된 입양법 시행에 따라 건강한 입양 문화가 정착하도록 아동권리보장원은 입양정책위원회 사무국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오는 7월 19일 시행되는 국내입양특별법과 국제입양에 관한 법률은 입양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입양 기관이 수행했던 입양 업무는 국가와 지자체 중심으로 전면 개편된다. 아동권리보장원은 입양 신청과 자격 검증, 입양 사후 지원 등 국내·외 입양 절차의 실무를 맡는다. 

정 원장은 "그동안 입양인들은 입양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기관을 방문해야 했지만 정확한 정보를 찾기 어려웠다"며 "흩어져 있던 입양 기록을 이관받아 임시 서고에 안전하게 보존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아동권리보장원은 임시 서고 후보지 40곳을 답사하는 등 관련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입양정보공개청구 절차와 같은 입양 관련 업무도 아동권리보장원으로 일원화한다. 정 원장은 "공공 중심의 일관된 입양정보공개청구 서비스를 제공해 입양인의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기관별 흩어진 업무를 아동권리보장원이 전담하는 큰 변화가 있기 때문에 이전보다 국민 편의가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