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독초를 섭취하고 복통 증상 등을 호소하는 사례는 총 41건인데, 그중 3~6월 신고된 건이 33건으로 전체의 80%를 차지하는 등 봄철에 신고가 집중됐다. 봄철에 독초 섭취에 의한 중독에 주의해야 하는 이유는 꽃이 피기 전에 잎 또는 뿌리만으로 산나물과 독초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식약처는 봄철 대표적인 독초 미국자리공, 삿갓나물, 동의나물, 은방울꽃, 털머위 등과 식용 나물을 구분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먼저 더덕으로 오인하기 쉬운 미국자리공이 있다. 도라지, 인삼 등과 비슷한 덩굴성 다년초인 ‘더덕’은 뿌리가 가로로 주름져 있지만, 미국자리공의 뿌리는 주름지지 않고 매끈하며, 굵은 뿌리에서 자주색 줄기가 나오며 향기가 없다.
독초인 삿갓나물은 뿌리를 약용이나 식용으로 이용하는 우산나물과 유사한 식물이다. 우산나물은 잎의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지며, 잎이 깊게 2열로 갈라졌지만, 삿갓나물은 줄기 끝에 잎의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는다.

봄나물과 독초 구별법. 식품안전나라
곰취와 생김새가 유사한 독초 동의나물도 있다. 동의나물은 향이 없고 잎 가장자리는 둔한 톱니가 있지만, 곰취는 향이 좋으면서 잎이 부드럽고 광택이 없으며, 날카로운 톱니를 가지고 있다.
봄철 대표 산나물인 산마늘(명이나물)과 모습이 비슷한 은방울꽃은 독초 중의 하나로 뿌리에 독이 있어 잘못 먹으면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은방울꽃은 잎이 곧고 튼튼하게 뻗어 있으며 땅속에 길게 뻗는 땅속 줄기가 있다. 산마늘은 마늘(부추) 향이 짙게 나고 줄기 하나에 2~3장의 잎이 달려 구별할 수 있다.
약용이나 식용으로 이용하는 머위 잎에는 털이 있고 부드럽지만, 털머위는 잎이 짙은 녹색으로 두껍고 표면에 윤이나며 상록성으로 갈색 털이 많다.
식약처는 "산나물에 대한 충분한 지식 없이 야생식물을 개인이 임의로 채취해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만약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해 섭취한 후 복통, 구토 등의 이상증세가 나타난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야 하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남은 독초를 함께 가져가는 게 좋다.

봄나물과 독초 구별법. 산림청
식약처와 산림청은 일반적으로 산나물과 독초를 구분하기 쉽지 않으므로 채취하지 않는 것이 독초 섭취를 피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했으며, 식용 가능한 산나물도 올바른 조리방법을 확인하고 섭취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