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 민주 경선룰에 "차라리 이재명 추대하라"…비명계도 반발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이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요구하며 국무위원 줄 탄핵을 거론한 것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이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요구하며 국무위원 줄 탄핵을 거론한 것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기로 한 더불어민주당을 “위선을 그만 부리고, 차라리 이재명 ‘추대’를 선언하라”며 비판했다.

윤 의원은 13일 페이스북에 “민주당의 ‘어대명(어차피 대표는 이재명)’식 대선 경선 방식에 대해 당 안팎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며 이같이 적었다.

그는 “결과는 뻔하다”며 “이재명 일극 체제 하에서 치러지는 경선은 그저 요식 행위일 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결과가 정해진 경선은 더 이상 경선이 아니다”며 “이는 마치 북한의 세습 독재 체제처럼 형식만 갖춘 ‘쇼’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민주당은 더 이상 국민을 기만하지 말라”며 “구색만 갖춘 경선을 통해 민주주의를 가장하지 말고, 차라리 솔직하게 이재명을 대통령 후보로 ‘추대’한다고 선언하라”고 했다. 이어 “그게 훨씬 정직하고 덜 위선적”이라고 덧붙였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전날인 12일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내용으로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를 제정하기로 결정했다.


당원은 12개월 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한다.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를 통해 각 50만명씩 두 차례 진행한다. 당은 19일부터 2주간 주말 이틀을 이용해 4개 권역 순회 경선을 한 후 최종 후보를 선출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자동차 부품 관세 대응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며 대선 출마선언을 하고 있다. 뉴스1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자동차 부품 관세 대응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며 대선 출마선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이와 같은 대선 후보 경선 방식에 대해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이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이라고 일제히 반발했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 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선거인단을 처음 시작한 이유는 당원이 아니더라도 국민이 직접 후보를 선출해 중도성과 대표성을 부여하여 본선에서 당선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며 “민주당은 ‘역선택’이라는 말에 원칙을 접은 적이 없다. 국민경선을 못 하겠다는 것은 국민을 믿지 못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김 지사 측은 “당규위원회가 특정 후보만을 위한 위원회일 수는 없을 것”이라며 “‘누가 더 유리하겠다’라는 것이 빤히 보이는 룰은 공정한 룰이 아니다”고 밝혔다.

김두관 전 의원 측도 강하게 반발했다. 김 전 의원 측은 “경선의 당사자인 후보측과경선룰에 대해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서면으로 입장 전달을 요구한 것 외에는 어떤 논의나 소통도 없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야당 지도자를 인정하지 않고 불통으로 일관했던 윤석열과 국민의힘을 닮아 가서는 절대 안 된다”며 “‘어대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주당은 오는 14일부터 대선 경선 후보 등록을 받는다. 현재까지 당내 경선에 출사표를 던진 이는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와 김두관 전 의원, 김동연 경기도지사 등이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이날 세종시청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