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pixabay
프랑스 국민의 절반은 한 달 생활비가 바닥날 것을 우려해 샴푸나 치약 등 위생용품 소비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현지시간) 여론조사기관 IFOP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4∼20일 프랑스 성인 4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9%는 한 달 생활비가 부족할까 봐 걱정하고 있다. 41%는 빈곤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불안을 드러냈으며, 21%는 식량 구입을 위해 자선 단체에 의지해야 할 수도 있다고 답했다.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경제적 불안이 정점에 달한 지난해 조사 결과에 비하면 다소 나아졌지만, 여전히 주머니 사정에 대한 우려가 큰 셈이다.
생활비 부족 우려는 위생용품 소비 감소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7%는 현재의 경제 상황이 위생용품 소비를 제한하거나 줄이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답했다. 17%는 식료품과 위생용품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했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포기한 품목은 화장품이다. 주로 메이크업 제품(여성의 33%), 염색약(여성의 27%), 보습 제품(24%) 등을 포기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상당수의 프랑스 여성은 화장(37%)이나 염색(36%)을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프랑스인 10명 중 1명이 기본적인 위생용품도 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9%는 샴푸를 안 산다고 답했고, 8%는 치약이나 샤워젤을 포기했다.
또 응답자의 24%는 칫솔을 자주 교체하지 않기로 했으며, 22%는 화장실 휴지를 아껴 쓴다고 답했다. 15%는 원하는 만큼 자주 머리를 감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울러 응답자의 32%는 세탁 횟수를 줄이기 위해 옷을 더 오래 입는다고 답했고, 21%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세제량을 줄인다고 했다.
IFOP은 "경제적 취약성과 위생 빈곤 지표가 작년보다 약간 개선되긴 했으나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했다"며 "특히 위생 빈곤은 더는 한정된 취약 계층의 문제가 아니라 청년 등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런 위기가 구조화하는 걸 막기 위해 필수 제품에 대한 접근을 사회적 포용 수단으로 재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