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랩 & 미래에셋증권 공동기획
100세 시대. 축복인가, 저주인가?
건강하든, 그렇지 않든 장수하는 시대가 되면서 노후에 대한 불안도 커지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인들이 실제 은퇴하는 나이는 63세가 채 되지 않습니다. 국민연금은 만 65세부터 받을 수 있으니 적어도 수년간은 ‘연금의 크레바스(crevasse, 깊은 틈)’를 버텨야 합니다.
반면에 한국인의 눈높이는 높아졌습니다. 설문조사를 해보니 은퇴 후에도 한 달에 336만원(본인과 배우자 기준)은 있어야 그럭저럭 살 것 같다고 합니다. 매달 이 정도로 쓰려면 부동산(집)을 빼고 금융자산만 10억원은 있어야 합니다. 당장 내 집 마련, 사교육비, 부모 부양비 등 들어갈 곳이 천지인데 ‘돈 모으기’가 가능할까 싶습니다.
이에 중앙일보 머니랩은 연금 적립금 증권업계 1위(약 42조원)인 미래에셋증권과 함께 ‘손안의 연금 가이드북’을 제공합니다. 당장 목돈 마련이 급해 연금 가입을 미루는 2030세대부터 돈을 빼서 써야 하는 시기가 다가오는 5060세대까지 모두의 ‘노후 내비게이션’이 될 수 있도록 총 12회에 걸쳐 ▶내 상황에 맞게 따라 할 수 있는 연금 투자법 ▶최신 연금 트렌드 ▶미국 주식 등 해외 자산 배분 전략도 담았습니다. 잘 읽고 실천한다면 지금의 작은 투자가 훗날 당신에게 보내는 최고의 선물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건강하든, 그렇지 않든 장수하는 시대가 되면서 노후에 대한 불안도 커지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인들이 실제 은퇴하는 나이는 63세가 채 되지 않습니다. 국민연금은 만 65세부터 받을 수 있으니 적어도 수년간은 ‘연금의 크레바스(crevasse, 깊은 틈)’를 버텨야 합니다.
반면에 한국인의 눈높이는 높아졌습니다. 설문조사를 해보니 은퇴 후에도 한 달에 336만원(본인과 배우자 기준)은 있어야 그럭저럭 살 것 같다고 합니다. 매달 이 정도로 쓰려면 부동산(집)을 빼고 금융자산만 10억원은 있어야 합니다. 당장 내 집 마련, 사교육비, 부모 부양비 등 들어갈 곳이 천지인데 ‘돈 모으기’가 가능할까 싶습니다.
이에 중앙일보 머니랩은 연금 적립금 증권업계 1위(약 42조원)인 미래에셋증권과 함께 ‘손안의 연금 가이드북’을 제공합니다. 당장 목돈 마련이 급해 연금 가입을 미루는 2030세대부터 돈을 빼서 써야 하는 시기가 다가오는 5060세대까지 모두의 ‘노후 내비게이션’이 될 수 있도록 총 12회에 걸쳐 ▶내 상황에 맞게 따라 할 수 있는 연금 투자법 ▶최신 연금 트렌드 ▶미국 주식 등 해외 자산 배분 전략도 담았습니다. 잘 읽고 실천한다면 지금의 작은 투자가 훗날 당신에게 보내는 최고의 선물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그동안 돈을 잘 쌓고 불리는 방법을 집중적으로 살펴봤다면, 이번 연금술사 9회는 현명하게 인출기를 준비하는 방법이다. 요즘같이 변동성이 큰 시장을 대비하는 방법부터, 50대 이상 연금투자자를 위한 포트폴리오까지 꼭 알아둘 내용을 담았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타격으로 주식시장이 하락해 연금자산이 걱정되는 50·60대라면 필독을 권한다.

📌Point 1. 연금 인출기 초기 하락이 위험한 이유
미래에셋증권 정효영 연금컨설팅본부장이 꼽는 연금 인출기에 고려해야 할 리스크는 다음과 같다.
▶장수 리스크 : 오래 살아 사망 전에 연금자산이 고갈될 위험.
▶물가 상승 리스크 : 물가 상승으로 준비한 연금만으로는 노후생활비를 감당하지 못할 위험.
▶초기 손실 리스크 : 연금 수령 초기 투자 손실로 연금자산 고갈 시기가 앞당겨질 위험.
이 중 장수 리스크와 물가 상승 리스크는 주식 등 실적배당형 상품에 장기간 투자하는 것을 통해 해법을 찾을 수 있다. 예금과 같은 원리금보장 상품만으로는 물가상승률을 따라잡을 수 없다. 이 밖에 살아 있는 동안 계속 지급되는 종신형 연금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다만 주식 등으로 연금자산을 굴릴 경우 초기 손실 리스크 가능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은퇴 초기 손실은 노후생활 내내 영향을 미친다. 이른바 시퀀스 리스크(sequence of return risk)다.
아래 그래픽을 살펴보자. A씨와 B씨는 은퇴 전까지 똑같이 연금 적립액 10만 달러를 쌓았다. 인출액은 매년 5000달러로 같고, 향후 15년간 연평균 수익률(4%)도 같다고 가정하자. 두 사람이 다른 점은 A는 연금 인출기 초반에 상승장을, B는 하락장을 맞이했다는 점이다. 그 결과 15년 뒤 연금계좌에 남은 잔액은 A가 10만5944달러, B는 3만5889달러로 차이가 크게 벌어졌다. 하락장에서는 동일한 액수의 현금을 인출하기 위해 더 많은 자산을 팔아야 하고, 그만큼 회복력도 떨어져 큰 격차가 발생하게 된다.

정근영 디자이너
📌Point 2. 인출기 리스크 대응법…‘딴 주머니’ 만들기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는 연금자산을 ‘주식 바구니’와 ‘채권(예금) 바구니’로 나눌 것을 제안했다. 채권 바구니에는 5년 내내 매달 만기가 돌아와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는 채권을 담으면 된다. 평소에는 상환된 채권 원금과 이자로 생활비를 충당하고, 주식 바구니에서 나온 수익으로 채권을 추가로 사들여 채권 바구니의 수명(5년·60개월)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하락장이 올 경우 주식 투자 바구니에서 돈을 꺼내 채권을 추가로 매수하는 건 잠시 중단한다. 원금 회복 여력을 늘리기 위해서다. 이후 시장이 회복하고 수익을 내게 되면 채권 바구니를 다시 늘리는 방식이다. 김동엽 상무는 “채권 바구니와 주식 바구니를 나눠 구성하면 주식시장의 흐름과 관계없이 매달 일정한 금액의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고 주식시장에 장기 투자해 연금자산을 불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인출기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미리 구축해 놓는 것도 중요하다. 미래에셋증권 정효영 연금컨설팅본부장은 “인출 초기 자산 손실이 크지 않도록 주식 등 실적배당형 자산은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운용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5060 인출기 추천 포트폴리오
인출기 포트폴리오의 핵심은 자산 운용의 안정성과 위험관리다. 특히 채권과 배당주처럼 팔지 않아도 꾸준히 소득이 들어오는 인컴형 자산 활용이 중요하다. 고정적인 이자와 배당을 통해 현금 흐름이 생기면 원금 인출 의존도를 낮추고 투자 원금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제시하는 50·60대의 연금 투자 추천 포트폴리오도 이런 원칙에 맞춰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해 자산을 배분했다. 한유진 미래에셋자산운용 전략ETF운용본부 매니저는 “커버드콜 ETF를 70% 담아 노후에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할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며 “분배금은 은퇴 전에는 재투자하고, 은퇴 후에는 노후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②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데일리커버드콜(20%) : 대표적인 배당 성장 ETF인 ‘슈드(SCHD)’를 추종하는 커버드콜 ETF다. 초단기 옵션 판매 수익과 주식 배당금 등으로 최대 연 12% 분배금을 지급하는 게 목표다. ‘미국 S&P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와 동시에 활용하면 월말 배당과 월중 배당을 섞어 격주마다 분배금을 받을 수 있다.
③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H)(20%) : 주식 투자 리스크를 분산시키기 위해 미국 장기채에 투자하는 ETF를 포함했다.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해 연 12%의 분배금 지급이 목표다. 대신 미국 30년 국채 수익률은 70%만 따라갈 수 있다.
④ TIGER CD1년금리액티브(합성)(30%) : 양도성예금증서(CD) 1년물 금리를 추종하는 파킹형 ETF다. CD 1년물 금리를 일할로 계산해 매일 복리로 반영한다. 4월 7일 기준 CD 1년 금리는 연 2.76%다. 매일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는 정기예금 성격이다.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갖춘 뒤에는 인출 순서도 조정하면 좋다. 현금과 현금에 준하는 원리금 보장 상품을 우선 인출하고, 기대수익률이 높은 투자상품을 나중에 인출하는 방법이다. 특히 주식 하락기에는 CD 금리를 추종하는 ETF 등 파킹형 ETF 상품부터 매도해 연금을 수령하는 게 좋다. 증권사별로 이런 순서에 맞춰 자동으로 상품을 매도해 인출하는 기능도 있다. 다만 자동 매도가 가능한 펀드와 달리 ETF는 매도 가격 등을 증권사가 정할 수 없기 때문에 투자자가 직접 현금화해야 한다. 정효영 본부장은 “연금 인출기 때는 1년, 적어도 6개월치 연금 금액 만큼을 미리 현금이나 원리금 보장 상품 등 유동성이 있는 상품으로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목돈으로 받은 퇴직금이라면
목돈으로 받은 퇴직금은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에서 굴리게 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추천하는 퇴직금 계좌 포트폴리오는 인출기 포트폴리오와 다르게 주가 상승 수익을 늘리는 데 무게를 뒀다.
① TIGER 미국S&P500(비중 50%) : S&P500의 연평균 수익률은 약 10% 수준이다. 장기투자할 경우 투자의 복리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②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30%) : 미국 우량 배당주 100개 기업에 투자하는 한국판 ‘SCHD(슈드)’다. 우량한 펀더멘털을 가진 고배당 기업에 투자한다. 최근 1년간 배당수익률은 4.11% 수준이다. 월배당 상품으로 재투자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③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H)(20%) ※ 인출기 포트폴리오와 같음
④ TIGER CD1년금리액티브(합성)(30%) ※ 인출기 포트폴리오와 같음

정근영 디자이너
②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30%) : 미국 우량 배당주 100개 기업에 투자하는 한국판 ‘SCHD(슈드)’다. 우량한 펀더멘털을 가진 고배당 기업에 투자한다. 최근 1년간 배당수익률은 4.11% 수준이다. 월배당 상품으로 재투자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③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H)(20%) ※ 인출기 포트폴리오와 같음
④ TIGER CD1년금리액티브(합성)(30%) ※ 인출기 포트폴리오와 같음
📌Point 3. 인출 금액 재설계 제도를 활용하라
연금 수령 시 세금 문제도 고민해야 한다. 연금은 재원 종류에 따라 세법상 인출 순서가 정해져 있는 데다, 부과되는 세금도 다르다. 연금계좌가 하나라면 세금에 대한 고민이 줄어들게 된다. 금융사에서 알아서 세율이 낮은 순으로 인출해 준다. 다만 계좌를 여러 개로 쪼개놨다면 세금을 적게 내는 순서대로 인출을 시작하는 게 좋다. 연간 연금 소득이 1500만원을 넘어설 경우 종합소득세율(6.6~49.5%)로 과세된다는 점을 우려하는 투자자도 많지만, 돈의 꼬리표에 따라 종합과세에 해당하지 않는 재원도 많다.

정근영 디자이너
▶2순위는 즉시 수령하지 않고 연금 형태로 나눠 받는 퇴직금 원금이다. 연금을 수령하면 1~10년 차에는 일시금으로 받을 때 내야 할 퇴직소득세의 30%를 감면해 주고, 11년 차부터는 40%를 감면해 준다. 개인형퇴직연금(IRP)에 퇴직금이 입금됐다면 연금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소액으로라도 인출을 시작하는 것도 좋다. 연금 수령 11년 차부터는 퇴직소득세 감면이 늘어나 절세 효과를 추가로 누릴 수 있다.
▶3순위 인출 금액은 세액 공제를 받고 적립한 금액과 연금계좌의 운용 수익이다. 연금을 받는 시기에 따라 최대 5.5%(70세 이상 4.4%, 80세 이상 3.3%) 저율 과세가 적용된다. 특히 3순위 인출 금액은 연간 1500만원이 넘어갈 때부터 연금 소득을 다른 소득과 합산해 종합소득세율(6.6~49.5%)로 과세된다. 연간 1600만원을 연금으로 수령하면 초과분 100만원만 종합과세되는 게 아니라 1600만원 전체가 종합과세 대상이다. 절세 혜택을 최대한 누리려면 연간 연금수령액을 1500만원 이하로 조정하는 게 좋다. 연금수령액 전액을 종합과세할지 분리과세(16.5%)할지는 투자자의 선택에 따라 다르다. 은퇴기에 연금 소득 이외에 다른 소득도 있어 종합소득세율이 16.5%보다 높다면 분리과세를 선택하는 게 유리하다.
은퇴 얼마 안 남았는데 연금계좌에 돈 부족하다면
은퇴가 임박했는데 연금 준비가 부족하다면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연금 전환 제도를 활용해야 한다. ISA계좌는 가입기간 최소 3년을 채우면 ISA계좌를 해지하고 연금저축계좌나 개인형 IRP로 전환할 수 있다. 연금계좌 납입한도(연 1800만원)을 초과해 연금계좌에 돈을 추가로 납입할 수 있는 유일할 방법이다.
추가 세제혜택도 누릴 수 있다. ISA 만기 자금을 60일 이내에 연금계좌(연금저축 또는 IRP)로 이전하면 전환 금액의 10%(최대 300만원 한도)만큼의 추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연금 세액공제 한도는 연 최대 900만원이지만, ISA 연금 전환제도를 활용하면 세액공제 한도가 1200만원으로 늘어나는 셈이다. 본인 소득이 5500만원 이하인 직장인은 49만5000원의 세액공제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연금 이전을 금융사에 알려야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
‘ISA 풍차돌리기’도 있다.〈ISA 연금 전환 → 추가 세액공제 받기 → 세액공제 미적용 금액 인출 → ISA계좌 납입 및 재운용〉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세액공제 한도에 맞춰 3000만원을 연금계좌에 입금하는 게 핵심이다. 연금계좌에 3000만원을 넣은 후 세액공제 미적용분 2700만원을 출금해 새로 가입한 ISA계좌를 통해 다시 운용한다. 연금저축계좌는 별도의 불이익 없이 부분 인출이 가능하다. 매년 300만원의 추가 세액공제는 물론, ISA 비과세 한도 역시 새롭게 적용돼 세제혜택을 최대한 누릴 수 있는 방법이다.
추가 세제혜택도 누릴 수 있다. ISA 만기 자금을 60일 이내에 연금계좌(연금저축 또는 IRP)로 이전하면 전환 금액의 10%(최대 300만원 한도)만큼의 추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연금 세액공제 한도는 연 최대 900만원이지만, ISA 연금 전환제도를 활용하면 세액공제 한도가 1200만원으로 늘어나는 셈이다. 본인 소득이 5500만원 이하인 직장인은 49만5000원의 세액공제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연금 이전을 금융사에 알려야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
‘ISA 풍차돌리기’도 있다.〈ISA 연금 전환 → 추가 세액공제 받기 → 세액공제 미적용 금액 인출 → ISA계좌 납입 및 재운용〉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세액공제 한도에 맞춰 3000만원을 연금계좌에 입금하는 게 핵심이다. 연금계좌에 3000만원을 넣은 후 세액공제 미적용분 2700만원을 출금해 새로 가입한 ISA계좌를 통해 다시 운용한다. 연금저축계좌는 별도의 불이익 없이 부분 인출이 가능하다. 매년 300만원의 추가 세액공제는 물론, ISA 비과세 한도 역시 새롭게 적용돼 세제혜택을 최대한 누릴 수 있는 방법이다.
연금술사 : 머니랩&미래에셋
▶매년 16.5% 수익이 난다고? 당신이 당장 연금 시작할 이유 [연금술사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0624
▶건보료 폭탄? 뭘 몰라 하는 말… 상위 10% 꽂힌 연금펀드 전략 [연금술사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4440
▶‘투자 MBTI’만 알려주면 돼, 알고리즘이 픽한 개인연금 [연금술사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7410
▶55세에 4억 쥐는데 안 해요? 13월의 월급, 여기 투자해라 [연금술사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0238
▶2% 수익률 7%로 바뀐다…열렸다, 환승 연금의 문 [연금술사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427
▶연금계좌 분노? 미당족 착각 “세금 아끼려 수익 버릴거냐” [연금술사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6429
▶연금투자로 월 210만원 탄다, 원금 2배 불린 상위 1% 철칙 [연금술사⑦]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9813
▶연금 수익, 로봇이랑 겨뤘다…연 900만원 ‘반반 투자’ 결말 [연금술사⑧]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5442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0624
▶건보료 폭탄? 뭘 몰라 하는 말… 상위 10% 꽂힌 연금펀드 전략 [연금술사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4440
▶‘투자 MBTI’만 알려주면 돼, 알고리즘이 픽한 개인연금 [연금술사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7410
▶55세에 4억 쥐는데 안 해요? 13월의 월급, 여기 투자해라 [연금술사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0238
▶2% 수익률 7%로 바뀐다…열렸다, 환승 연금의 문 [연금술사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427
▶연금계좌 분노? 미당족 착각 “세금 아끼려 수익 버릴거냐” [연금술사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6429
▶연금투자로 월 210만원 탄다, 원금 2배 불린 상위 1% 철칙 [연금술사⑦]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9813
▶연금 수익, 로봇이랑 겨뤘다…연 900만원 ‘반반 투자’ 결말 [연금술사⑧]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5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