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왼쪽)가 지난 14일 서울 강남구 퓨리오사AI에서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지난 14일 1호 공약으로 AI를 선택하고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러자 한동훈 국민의힘 경선 후보는 AI 인프라 마련에 이재명 후보의 2배인 총 200조원을 투자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또 다음날인 16일엔 김경수 민주당 경선 후보가 AI에 100조원 투자를 하겠다고 밝히며, ‘민관 공동’ ‘향후 5년간’ ‘증세를 통해’ 등 상대적으로 구체적인 목표를 담았다.
AI 육성에 투자 액수부터 앞세우자 정치권에서도 비판이 나온다. 특히 문과 출신 후보들의 공약에 이과 출신 의원들이 앞장서 비판하는 모습이다. ‘안랩’ 창업자인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이재명 후보의 AI 공약 발표 직후인 14일 페이스북에 “과연 AI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제발 모르면 좀 가만히 계시라”며 꼬집었다.

개혁신당 대선후보 이준석 의원이 16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2025.04.16.
전문가 의견은 어떨까.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통화에서 “우리는 선진국에 비해 AI 투자 자본·기술·인력이 모두 부족하니 투자를 과감하게 늘려야 한다는 방향은 맞다”면서도 ‘구체성 부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이 교수는 “예를 들어 챗(Chat)GPT나 제미나이(Gemini)같은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새로 개발할지, 아니면 미국 빅테크들이 만든 AI 모델을 개량해서 응용 서비스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갈지 방향도 명확하지 않은 것 같다”며 “AI 반도체나 그래픽처리장치(GPU) 같은 하드웨어는 어떻게 확보할지도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고 지적했다.
17대 땐 ‘7·4·7’, 20대 땐 ‘청년주택 100만호’

2007년 12월 18일 이명박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가 서울 청계천 광장에서 부인 김윤옥 여사와 마지막 유세를 하는 모습. 오종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