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4일(현지시각) 미 버지니아주 스털링에 있는 골프장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2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에너지 관련 자문을 하는 국가에너지지배위원회(NEDC)가 오는 6월 2일 알래스카에서 열리는 회담에 한국과 일본 통상 당국자를 초청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고위급 회담을 열어 알래스카 LNG 개발사업이나 가스 구매에 대한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하는 걸 NEDC는 추진 중이다.
LOI는 법적 구속력은 없다. 대신 정식 계약에 이를 수 있게 서로 협력하자고 합의하는 내용이다. 이미 대만은 지난달 20일 관련 LOI에 서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같은 달 4일 의회 연설에서 “일본과 한국 등이 수조 달러씩 투자하고 싶어 한다”고 발언한 이후 미 정부는 압박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그러나 6월 2일 LOI 체결은 국내 정치 여건상 어려울 거라는 분석(오성익 OECD 지역개발정책위원회 분과부의장)이 나온다. 조기 대선(6월 3일) 직전 정부가 대규모 해외 투자 사업 참여 여부를 결정하기엔 무리란 분석이다. 정치 여건을 차치해도 6월 2일 LOI 체결은 어렵다는 반응이 정부 내에서 나온다. 사업성 검토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관련 기관과 함께 현재 알래스카 현지 실사를 진행 중이다.

트럼프 추진 알래스카 LNG 개발 그래픽 이미지.
투자 여력이 부족한 것도 걸림돌이다. 한국가스공사가 전면에 나서야 하는데 현재 공사 재무구조는 알래스카 사업을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악화했다. 지난해 말 현재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 미수금은 14조원으로 전년보다 1조원 늘었다. 총부채는 47조원에 달한다. 자본 대비 부채 비율은 400%를 넘었다. 정부의 지원도 여의치 않다. 대규모 세수 결손으로 나라 곳간에도 여유가 없다. 민간 자본의 힘을 빌리기도 어렵다. 위험성이 높은 탓에 국내 민간 기업 역시 참여를 꺼리고 있다.
정부는 만일 투자를 하게 된다면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른 여러 나라와 함께해야 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간) 열린 미 정부와의 통상협의에서 “우리만 해서는 사업의 타당성을 만들기 어려워서 아시아의 LNG 주요 수요 국가인 일본ㆍ대만ㆍ베트남과 협의체를 만들어봐야 하지 않나”란 제안을 했다. 25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태국 정부도 알래스카 사업 참여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