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타임스 "트럼프, '러에 우크라 영토 양보' 종전안 그대로 확정"

26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퍼스트레이디 멜리니아 트럼프. 로이터=연합뉴스

26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퍼스트레이디 멜리니아 트럼프.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영토 일부를 넘기는 방안을 포함한 기존 종전안을 그대로 확정했다고 영국 일간 더타임스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리는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나 협의할 가능성도 있지만,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이 종전안에 서명하는 것 말고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보고 있다고 타임스는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종전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평화 중재를 중단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2014년 러시아가 강제 병합한 크림반도에 대한 러시아 지배를 공식 인정하고, 2022년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남부 및 동부 지역에 대한 통제를 사실상 인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 특사 스티브 위트코프와 가까운 한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의 시각은 이 땅은 빼앗겼고,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합의된 내용은 러시아가 점령한 영토는 계속 점령 상태로 유지된다는 점"이라며 "러시아는 점령을 해제하지 않을 것이다. 그 부분은 이미 확정된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또 소식통은 우크라이나가 합의를 거부할 경우 전쟁은 수년 동안 이어질 수 있으며, 우크라이나는 유럽 국가들의 군수품과 자금 지원에 더욱 의존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미국의 자금 지원 중단은 실제로 무기 지원 중단만큼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는 그 돈을 다른 동맹들로부터 더 많은 무기를 사는 데 써야 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 제안이 젤렌스키 대통령이 수락하거나 거절해야 하는 마지막 제안이냐는 질문에 대해 소식통은 미국은 이를 "받아들이든지 말든지" 둘 중 하나의 문제로 본다고 답했다.

미국은 유럽 내 경기 침체 위험이 커지면서 유럽 여론이 우크라이나전에 대한 막대한 지출에 반대하는 방향으로 돌아설 것으로 보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크림반도를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는 것은 헌법상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미국 시사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평화 합의에 매우 근접했다고 밝혔다. 그는 "크림반도는 러시아에 남을 것"이라며 "젤렌스키도 그것을 이해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