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건희 여사가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사건이 서울남부지검에 배당됐다. 연합뉴스
서울남부지검은 지난 25일 대검찰청으로부터 이 사건을 배당받아 금융감독원의 조사 기록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는 금감원 조사 내용 등을 바탕으로 주가조작이 의심된다며 삼부토건 실소유주인 조성옥 전 회장과 이응근 전 대표이사 등 전·현직 경영진 5명을 주가조작 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했다.
이 사건은 주가조작 세력이 삼부토건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 등의 호재를 활용해 1000원에도 미치지 못하던 한 주당 주가를 5500원까지 띄워 시세 차익을 얻었다는 내용이다. 지난해 순직해병 수사외압 의혹 사건과 관련 김건희 여사와의 친분을 과시하던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가 2023년 5월 카카오톡 대화방에 “삼부 내일 체크하고”란 메시지를 보내며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가 관여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이 전 대표가 ‘삼부’ 관련 언급을 한 시점은 삼부토건 주가가 급등하던 시점이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1주당 500~800원 수준이던 삼부토건 주가는 2023년 5월을 기점으로 폭등하기 시작했고 7월 17일 장중 5500원을 돌파했다. 삼부토건 시가총액은 2000억원에서 1조원으로 늘며 8000억원대의 단기 차익이 생겼다.
금융당국, 최소 660억원 부당이익 의심

금융당국은 삼부토건 전현직 사주들이 주가 폭등 과정에서 최소 660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보고 있다. 뉴스1
금감원 조사 과정에선 김 여사가 주가조작에 관여한 구체적 정황이 확인되지 않아 고발 대상에는 전·현직 경영진들만 이름을 올렸다. 다만 금융당국은 검찰 고발장에 “사회적 의혹 해소가 필요하다”고 명시하며 사실상 김 여사 관여 여부에 대한 수사 필요성을 드러냈다. 서울남부지검은 금감원 조사 기록을 바탕으로 직접 수사를 개시할지 사건을 금감원으로 보내 수사 지휘를 할지 결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