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대선 최종 경선에 김문수, 한동훈 후보(가나다순)가 진출한 가운데 30일 국회 국민의힘 사무실 복도에 두 후보의 포스터가 붙어있다. 임현동 기자
중앙일보 취재에 따르면 29일 발표된 2차 경선 투표 결과 1위 후보는 30%대 득표율, 2위 후보는 20%대 득표율을 기록했고, 한 자릿수 차이였다고 한다. 결선 투표의 승패를 가를 쟁점은 2차 경선 투표에서 김 후보와 한 후보를 선택하지 않거나,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제3지대 표심’의 향방이다.
가장 주목받는 건 홍준표 후보를 지지했던 표심의 이동이다. 홍 후보는 29일 경선 탈락 뒤 정계 은퇴를 선언했고,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메시지를 내진 않았다. 하지만 홍 후보를 도왔던 현역 의원들은 대거 김 후보 캠프에 둥지를 틀었다. 30일 유상범·김대식·백종헌·김위상 의원 등이 김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앞서 탈락한 나경원 의원도 김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이날 김 후보는 취재진과 만나 “홍 후보의 전화기가 꺼져 있어서 통화를 못 했지만, 홍 후보와 나는 생각이 다를 것도, 특별히 숨겨 놓을 것도 없는 사이”라고 했다.
홍 후보의 지지 표심은 향후 김 후보 쪽에 더 많이 흡수될 것이라는 게 당내 정설이다. 영남 지역 의원은 통화에서 “2차 경선에서 두 후보의 격차가 크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양자 대결 시 표 이동을 추산해보면, 김 후보가 우위를 점할 것”이라고 말했다.
탄핵 찬성파인 안 후보 지지층은 한 후보 쪽에 더 쏠릴 가능성이 있다. 다만 경선 과정에서 안 후보가 한 후보를 저격하거나 토론에서 두 사람이 충돌한 점을 들어, 안 후보의 표심이 한 후보에게 온전히 이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국민의힘 김문수, 한동훈, 안철수, 홍준표 대선 경선 후보가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후보자 선출을 위한 3차 경선 진출자 발표에서 결과 발표 후 악수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4/30/78cc303b-c808-46d4-89ca-63fd9a897086.jpg)
국민의힘 김문수, 한동훈, 안철수, 홍준표 대선 경선 후보가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후보자 선출을 위한 3차 경선 진출자 발표에서 결과 발표 후 악수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한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한 후보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이길 수 없다는 ‘반탄 불가론’을 강조하면서, 토론 등의 강점을 앞세워 대이재명 경쟁력을 부각하고 있다. 또 한 후보 측은 홍 후보 지지층은 유연한 보수 성향이기 때문에, 표심 이동을 쉽게 예단하기 힘들다고 본다. 한 후보 캠프 관계자는 “홍 후보를 지지한 표심이 김 후보에게 쏠리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 후보 측은 지지율이 최근 상승세를 탔다는 점도 부각한다. 경선 초기만 해도 한 후보는 보수층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나 홍 후보에게 밀렸고, 이 때문에 결선 진출이 어려울 거라는 전망도 있었다. 중립 성향 의원은 통화에서 “선거는 기세 싸움인데 크게 보면 김 후보는 하락세, 한 후보는 상승세라 백중세”라고 했다.
2차 경선에 참여하지 않은 약 37만5000명의 당원 표심을 두 후보가 얼마나 자기 쪽으로 끌어당길지도 관건이다. 결선 투표는 당 지지층, 무당층 대상 여론조사와 당원 선거인단 투표를 50%씩 합산한다. 2차 경선의 당원 투표율은 50.93%였는데, 당 지도부는 결선 투표율이 60% 이상으로 올라갈 거라고 본다. 이 경우 약 10만 명의 당원이 새롭게 투표에 참여한다. 김 후보 측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단일화를 바라는 보수층이 굳히기 투표에 나설 것이라고 보지만, 한 후보 측은 2차 경선에 참여하지 않은 부동층이 투표율을 끌어올리면 한 후보에게 유리하다고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