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이임식 없이 떠났다…"공직자 외부서 흔들어선 안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4월 22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한·미 2 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참석을 위해 출국하고 있다. 뉴스1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4월 22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한·미 2 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참석을 위해 출국하고 있다. 뉴스1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퇴임하며 “직무에 충실한 공직자를 외부에서 흔들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최 전 부총리는 이날 오전 기재부 내부망에 올린 퇴임인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최 전 부총리는 이날 “국가의 중장기적인 미래비전과 과학적인 분석으로 단기적인 인기영합적 의사결정을 배제하고 국가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우선하면서 각 분야·세대 간 갈등 조정으로 공생의 실용적인 대안을 제시하라는 것이 국민이 행정부 공직자에게 부여한 사명”이라고 밝혔다.

이어 “여러분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여러분의 신념을 지킬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라며 “그 힘은 여러분 한 분 한 분이 바로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이며 국민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헌법 제7조 제1항의 공무원이라는 자긍심에서 나온다”고 했다. 그러면서 “어려운 상황일수록 공직자로서의 신념과 자긍심을 다져주기를 바란다”며 마지막 당부를 했다.

최 전 부총리는 지난 1일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본회의에서 그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상정하자 곧바로 사퇴했다. 2024년 1월 취임 이후 1년 4개월여만이다.


그는 지금까지의 성과와 관련해 “엄중한 대내외 여건에서도 각자의 자리에서 임무를 묵묵히 수행해 준 여러분 덕분에 복합위기 극복, 부채의존 구조 탈피, 약자복지 확대 등 성과를 낼 수 있었다”며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했던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여러분이 국정의 민생 안정, 재난 대응, 국가신인도 사수를 위해 하루하루 사투를 벌였던 모습을 국민들은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전 부총리는 아쉬운 소회도 밝혔다.  

그는 “복합위기의 부작용이 예상보다 심화해 내수 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금리 충격이 민생의 어려움을 가중하고 있다"며 “2021~2022년 중 자산시장 과열 등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초과세수를 트렌드 본질로 인식한 세수 추계 오류도 계속됐다”고 했다.  

이어 “재정의 복지 기능은 확대하되 민간 중심의 경제 활력은 구조개혁과 시간이 필요한 과제인데 미완으로 남았다”며 “대내외 정책여건이 엄중한 상황에서 기획재정부가 해결해야 할 산적한 과제를 여러분께 남기고 떠나게 돼 마음이 무겁고 국민께 죄송스럽다”고 말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최 전 부총리는 기재부에 대한 신뢰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저는 여러분을 믿는다. 기재부는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서도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것”이라며 “어떠한 대내외 불확실성이 있어도 우리 경제 시스템을 잘 작동시키고 국가 신인도를 지켜 낼 것”이라고 했다.

최 전 부총리는 이날 오전 기재부 청사를 돌며 직원들과 마지막 인사를 나눈 뒤 청사를 떠났다. 이임식은 열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