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쇼트트랙 국가대표 임종언이 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쇼트트랙 국가대표 임종언이 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임종언은 초등학교 1학년 때 처음 스케이트를 신었다. 취미로 인라인을 타다 "스케이트에 소질 있어 보인다"는 주변 권유로 쇼트트랙을 시작했다. 3학년 때 선수가 되기로 마음먹었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일단 해보고, 아니다 싶으면 그만두면 된다'는 가벼운 마음이었다"고 했다. 그런데 5학년 때 TV로 평창 동계올림픽을 보다 눈이 번쩍 뜨였다. '아, 정말 제대로 해서 나도 저 무대에 서고 싶다.' 그렇게 마음에 새로운 꿈이 자리 잡았다.

쇼트트랙 국가대표 임종언이 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완치 후 겨우 훈련을 재개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훈련 도중 크게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번엔 왼쪽 발목뼈가 부러졌고, 다시 6개월을 더 쉬었다. 그는 "그래도 쇼트트랙을 그만두기엔, 스케이트 타는 게 너무 즐거웠다. '지난번에도 해냈으니 이번에도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이겨냈다"고 토로했다.
거의 2년을 재활로 흘려보내는 사이, 또래 선수들은 한참 앞으로 치고 나갔다. 임종언은 마음을 다잡았다. "남들보다 뒤처졌으니, 남들만큼 운동해서는 안 될 거 같았다. 일주일 중 토요일만 빼고 오전 3시간, 오후 5시간을 매일 훈련했다"고 털어놨다. 자신의 한계와 싸워 이긴 나날들이 '올림픽 출전권'이라는 결실로 돌아왔다. 그는 "그동안 묵묵히, 열심히 해온 보답을 받은 느낌"이라고 했다.

쇼트트랙 국가대표 임종언이 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쇼트트랙 국가대표 임종언이 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국가대표 제자'를 누구보다 자랑스러워했을 송 코치는 지난 2023년 8월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제자는 훈련 도중 이 소식을 듣고 망연자실했다. 임종언은 "부상으로 힘들어할 때 내가 흔들리지 않게 늘 붙잡아주신 분이다. 힘들 때마다 선생님 조언 덕에 버텨내곤 했는데, 한동안 빈자리가 커서 마음이 공허했다"며 "선생님이 하늘에서라도 기뻐하실 수 있게, 꼭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서 보답하고 싶다"고 마음을 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