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로고. 사진 연합뉴스
9일 넷플릭스는 광고를 시청해야 콘텐트를 볼 수 있는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를 기존 월 5500원에서 7000원으로, ‘베이식’ 요금제는 월 9500원에서 1만2000원으로 인상했다. 스탠다드(1만3500원)와 프리미엄 요금제(1만7000원)는 가격 변동 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가격 인상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적용됐다.
넷플릭스가 국내에서 요금제를 인상하는 건 2021년 11월 이후 약 3년 6개월 만이다. 2021년에는 스탠다드와 프리미엄 요금제 가격을 올렸었다. 광고형 스탠다드와 베이식 요금제 인상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넷플릭스는 광고형 스탠다드로 월 4900원에 볼 수 있는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넷플릭스는 “기존 회원들에게는 차례로 메일을 통해 가격 인상을 안내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인상한 베이식 요금제는 현재 광고 없이 넷플릭스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최저가 요금제다. 2023년 12월부터 신규 가입은 중단된 상태다. 하이 요금제를 이용하는 기존 회원들은 인상된 가격을 지불해야 한다.

9일부터 바뀌는 넷플릭스 요금제. 사진 넷플릭스.
넷플릭스의 가격 인상 배경엔 국내 OTT 시장에서 넷플릭스의 독주가 견고해지는 상황과 맞물려 있다. 넷플릭스의 국내 월간활성사용자수(MAU)는 11월을 기점으로 급반등해 올해 3월엔 1409만 명까지 올랐다. 같은 달 2위인 쿠팡플레이(748만명), 3위 티빙(705만명)과의 격차는 더 벌어졌다. 넷플릭스는 “요금제 인상은 콘텐트 재투자로 이어질 것”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쿠팡플레이·티빙도 최근 구독자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9일 쿠팡플레이는 오는 6월부터 쿠팡 일반 회원도 쿠팡플레이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월 이용료를 내는 기존 와우회원은 4K 고화질 스트리밍 등 지원을 확대한다. 티빙은 배민과 손잡고 월 3990원 유료 멤버십 ‘배민클럽’에 티빙 구독권를 결합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