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탐방 수칙(반달가슴곰과 마주쳤을 때 대처방법). 국립공원공단
짝짓기가 왕성한 시기 반달가슴곰은 특히 위험하다. 이 시기엔 탐방수칙을 더 철저히 지켜야 안전하다.
지리산 일대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반달가슴곰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감에 따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탐방객을 대상으로 안전 수칙 안내를 강화한다고 13일 밝혔다.
공단에 따르면 반달가슴곰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봄철(3~5월)보다 여름(6~8월)으로 갈수록 활동 반경이 약 5.3배 넓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개체의 행동반경 자료를 토대로 한 결과다.
반달가슴곰의 짝짓기(교미) 시기는 5월 말부터 7월 사이로, 이 시기에는 활동이 왕성해짐에 따라 탐방객의 주의가 요구된다. 공단은 법정 탐방로 이용, 2인 이상 동행 산행, 가방걸이용 종이나 호루라기 등 소리 나는 물품 휴대를 기본 탐방수칙으로 권장하고 있다. 이는 곰에게 사람의 존재를 인식시켜 접촉을 피하기 위한 조치다.

탐방 수칙(반달가슴곰과 마주치지 않는 방법). 국립공원공단
안전 강화를 위해 공단은 지리산 내 샛길 입구 등 약 600곳에 반달가슴곰 서식지를 알리는 홍보 깃발과 무인 안내기를 설치했다. 또한 가을 탐방 성수기(9~11월)에는 탐방로 입구에서 공존 캠페인을 통해 소리 나는 물품을 무료 배포할 예정이다.
하반기부터는 지리산과 덕유산국립공원 내 탐방안내소와 대피소에서 관련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지리산 종주 능선 10곳에는 고정식 종도 시범 설치할 계획이다.

반달가슴곰 주의 신호등(홍보 깃발). 국립공원공단
공단은 반달가슴곰이 사람에 대한 경계심과 회피 성향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10년간 지리산에서 곰이 탐방객에게 목격된 사례는 10건으로, 같은 기간 탐방객 수(3207만 명) 대비 320만분의 1에 불과하다.
만약 반달가슴곰을 마주치더라도 곰이 먼저 자리를 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등을 보이거나 달아나기보다는 시선을 유지한 채 뒷걸음으로 조용히 자리를 벗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먹이를 주거나 사진 촬영 등 자극적인 행동은 삼가야 한다.

탐방 수칙 반달가슴곰과 마주쳤을 때 대처방법. 국립공원공단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지리산 일원은 안정적으로 반달가슴곰이 서식할 수 있는 여건이 확보된 만큼, 앞으로는 반달가슴곰과 사람이 안전하게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탐방객과 지역주민 모두 탐방수칙 준수 등 공존의 길을 함께 가야 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