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는 20일(현지시간)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완전자율주행 로보택시와 관련 "6월 말까지 텍사스주 오스틴 도로에서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운전자의 개입이 전혀 없이 주행 테스트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AFP=연합뉴스
머스크는 로보택시를 초기엔 신중하게 운영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첫 주엔 10대로 시작해 20대, 30대, 40대로 점차 늘려가면서 아마 몇 달 내에 1000대에 도달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운영 지역에 대해선 "오스틴에서 시작해 캘리포니아의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와 텍사스주의 샌안토니오 같은 다른 도시들로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머스크는 운영 초기 안전을 위해 운행 지역 범위를 제한하고, 차량의 움직임을 원격으로 관찰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그는 자율주행차에 대한 통일된 연방 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뒤 "내년 말까지 미국에서 수십만 대, 혹은 100만대 이상의 테슬라가 자율주행으로 운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머스크와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한편 머스크는 "앞으론 정치 후원금을 훨씬 덜 지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같은 날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열린 카타르경제포럼(QEF)의 대담 프로그램에 화상으로 참여해 "(정치 후원금을) 이제 할 만큼 했다고 생각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머스크는 지난해 미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당시 후보를 지지하며 약 2억5000만 달러(약 3467억원)를 기부했다고 알려진다.
때문에 머스크의 이번 발언은 앞으로 정치와는 거리를 두고 사업에 전념하겠단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머스크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에서 정부효율부(DOGE) 수장에 임명된 뒤 펼친 공격적인 정부 구조조정으로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또 주주들은 그가 경영에 소홀하다고 지적했으며 일각에선 테슬라 불매운동도 벌어져 테슬라의 1분기 이익은 급감했다.
그러나 머스크는 이날 "테슬라의 매출이 반전을 이뤘다"며 "우린 유럽을 제외한 다른 모든 곳에서 강력하다"고 말했다. 또한 머스크는 "5년 뒤에도 테슬라 CEO로 재임할 것 같나"란 진행자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지만, "의심의 여지가 없나"란 추가 질문엔 "글쎄, 아니다. 내가 죽을 수도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