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원 4명은 최전선 갔다"…곰팡내 방공호에 차려진 연극무대 [종전협상 우크라를 가다②]

 

지난 2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의 한 지하 방공호에서 연습 중인 우크라이나 연극인들. 왼쪽부터 올레나 이반첸코, 올렉시, 나스땨, 빅토리아. 박현준 기자

지난 2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의 한 지하 방공호에서 연습 중인 우크라이나 연극인들. 왼쪽부터 올레나 이반첸코, 올렉시, 나스땨, 빅토리아. 박현준 기자

21일 새벽 3시 32분(현지 시간) 한국에 송고할 기사를 마무리할 무렵, 러시아가 또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공습했다. 공습경보가 요란하게 귀를 때린다. 미리 커튼을 쳐두길 잘했다. 드론(무인기) 때문이다. 미사일은 애초 정해둔 목표물을 향해 날아든다. 피격 여부는 예정된 운명에 따르는 것이다. 반면 드론은 건물을 배회하며 먹잇감을 시시각각 바꾼다. 우연적 속성이 크다. 불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조심하는 수밖에 없다. 

공습경보만 울리면 본능이 곤두선다. 하필 준비한 기사가 ‘전쟁 속을 살아가는 예술인들’이었다. 극한 상황 속에서도 도시가 아귀 지옥으로 전락하지 않는 이유를 캐고 싶어서였다. 문명의 위력을 알고 싶었다. 공교롭게도 준비된 기사의 첫 장면은 방공호에서 상연되는 연극이었다.  

#1. 재생 
“조심히 내려와요.” 불 꺼진 계단을 내려가자 발걸음 소리가 동굴에 들어온 듯 귀에 울렸다. 곰팡내가 벽을 타고 피어 올라왔다. 한 층 정도를 내려가자 초등학교 교실 두 개를 이어 붙인 규모의 널찍한 공간이 나타났다. 페인트칠 된 벽, 낡은 의자, 흐릿하게 빛나는 형광등. 영락없는 방공호다. 지난 20일 찾은 키이우의 이 지하 방공호에선 배우들이 연습에 여념 없었다. 감독·극작가 겸 배우인 올레나 이반첸코(45)가 활짝 웃으며 맞았다. “우리 극단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지하 방공호에 있는 극단에서 연습 중인 우크라이나 연극단원. 박현준 기자

지하 방공호에 있는 극단에서 연습 중인 우크라이나 연극단원. 박현준 기자

올레나의 극단은 한때 단원이 30명에 달했으나, 지금은 전쟁 여파로 12명으로 줄었다. 단원 4명은 군인으로 최전선에서 싸우고 있다. 간판 연극은 ‘황새의 귀환’.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방공호에 모여든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시인들이 기존에 발표한 시를 모아 올레나가 사흘 만에 각색해 제작했다. 황새는 언젠가 집으로 돌아올 병사들과 희망을 상징한다고 한다.  


“하느님, 들리세요?/전쟁은 필요 없어요./저는 뻐꾸기 소리를 듣고 싶어요./엄마가 자장가를 불러주고, 아빠는 전쟁에서 돌아오길 바라요./이 고운 말, 우크라이나어를 너무 사랑해요./우리 마을과 교회, 황금빛 밀밭도요./그러나 요즘은 자꾸 울게 돼요.”

올레나에게 연극은 우크라이나인들이 다시 태어날 힘을 주는 수단이다. BTS 팬이라는 올레나는 “한국전쟁이 끝나고 한국인들이 ‘한(恨)’이란 걸 느꼈던 것처럼 우크라이나인들도 그렇다”며 “한국인들이 ‘재생’에 성공한 것처럼, 우리도 그러기를 바란다”고 했다. 공연장은 러시아의 공습경보가 울리면 사람들이 대피하러 오는 실제 방공호다.

그렇다고 마냥 심각한 연극만 올리지는 않는다. 배우 올렉시는 “참전 중인 단원들이 너무 심각한 것 말고 코미디를 찍어서 보내달라고 한다”며 “그러면 유머를 담은 연극을 제작해 전선에 보낸다”고 했다.  

#2. 수수께끼 

막심 기예라시모프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처음으로 완성했던 그림을 들어보이고 있다. 박현준 기자

막심 기예라시모프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처음으로 완성했던 그림을 들어보이고 있다. 박현준 기자

막심 기예라시모프(39)는 화가이자 미술교사다. 키이우 외곽에 있는 작은 연못 근처에 세워진 정자에 자리를 잡고 그림을 그린다. 원래는 ‘아이의 눈으로 본 어른의 인생’을 테마로 그림을 그렸지만, 전쟁 발발 후 붓을 놓았다. 고통스러운 현실에 그림을 그릴 의욕이 생기지 않아서다. 한동안 아이들에게 그림을 가르치는데 주력했다. 막심은 “아이들의 그림에 폭력이 너무 많이 묘사돼 있었다”며 “폭력이 담긴 그림은 보는 사람에게도 폭력이 된다”고 했다.  

막심은 “사실을 그대로 보여주는 그림은 폭력에 불과하다”며 “반면에 대가들은 그림에 수수께끼를 숨길 줄 알았다”고 강조했다. 삶에는 비밀이 있어야 하고, 그게 문명이라는 게 그의 지론인 듯했다. 

아이들에게 그림을 가르치던 중 막심은 다시 붓을 들었다. 처음으로 완성한 그림은 우크라이나의 어느 집 마당에서나 흔히 보는 노란 금잔화를 큼지막하게 그린 것이다. 우크라이나에선 고향과 어머니를 상징한다. “화폭에 작은 꽃을 커다랗게 담아 세상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크다는 점을, 그리고 우크라이나인들의 마음은 관대하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고 했다.

#3. 기억

도예가 나탈리 안티피나와 작품들. 오른쪽의 상자를 뒤집어쓴 사람이 전쟁 이전의 작품. 박현준 기자

도예가 나탈리 안티피나와 작품들. 오른쪽의 상자를 뒤집어쓴 사람이 전쟁 이전의 작품. 박현준 기자

작풍이 급격하게 바뀐 경우도 있다. 도예가인 나탈리 안티피나(34)는 상자를 뒤집어쓴 사람을 도예로 제작했다. 사람은 자기 생각에 갇혀 있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전쟁 발발 후 나탈리의 도자는 녹아내리는 듯한 유체적 모습으로 탈바꿈했다. 나탈리는 “전쟁으로 마음이 없어지고 녹아내리는 듯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나탈리의 작풍은 바뀌었다. 박현준 기자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나탈리의 작풍은 바뀌었다. 박현준 기자

나탈리는 전쟁으로 작품과 자신이 함께 변화하고, 그 변화는 한 방향으로 흘러갈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면서 “전쟁으로 우리가 어떻게 변했는지가 작품에 남게 된다”며 “우리가 느끼고 살았던 바를, 마치 서류철처럼 도예를 통해 역사 남기는 게 나의 일”이라고 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