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는 프랑스 아티스트 알렉상드르 뱅자맹 나베(Alexandre Benjamin Navet)와 협업을 통해 반클리프 아펠이 가진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예술적 공간으로 풀어낸다. 석촌호수와 인접한 초록빛 월드파크는 알렉상드르 뱅자맹 나베의 다채로운 색감의 작품과 설치작품으로 채워져 생동감 넘치는 공간으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프랑스 하이주얼리 메종 반클리프 아펠이 오는 31일 서울 잠실 월드파크에서 아트 프로젝트 '스프링 이즈 블루밍'을 시작한다. [사진 반클리프 아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5/23/5dbdd6f6-9fae-4d21-966b-8578157fd532.jpg)
프랑스 하이주얼리 메종 반클리프 아펠이 오는 31일 서울 잠실 월드파크에서 아트 프로젝트 '스프링 이즈 블루밍'을 시작한다. [사진 반클리프 아펠]
반클리프 아펠의 예술 정원 '스프링 이즈 블루밍'
1906년 설립 당시부터 자연의 아름다움은 반클리프 아펠의 영감의 원천이었다. 2014년부터 메종은 매년 봄의 시작을 기념하며 다양한 캠페인과 프로젝트를 통해 계절이 지난 활기찬 생명력을 전해왔다. 장인 정신으로 만들어낸 하이주얼리와 시계 등 제품을 포함해 예술 작품으로 표현해온 메종의 자연은 늘 동화처럼 환상적이고 아름다웠다.
이번 프로젝트 역시 이들이 가진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예술적으로 해석해 보여준다. 잠실 월드파크의 넓은 광장은 알렉상드르 뱅자맹 나베 특유의 다채로운 색감과 유쾌한 드로잉 감각으로 가득 찬 설치 작품들로 채워진다. 아치형 구조물과 바람이 흔드는 그네, 자연 속 정원처럼 꾸며진 파고라(서양식 정자) 등은 방문객들을 동화 같은 동심의 세계로 이끈다.
작품들은 그저 보는 것에만 그치지 않는다. 사람들은 직접 그네를 타거나 파고라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광장에 자리잡은 분수에서는 봄과 함께 새롭게 탄생하는 자연의 활기를 느낄 수 있다. 이외에도 ‘플라워 마스크’‘바람개비 만들기’ 등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이 함께 운영돼 메종이 추구하는 생명력, 조화, 즐거움의 가치를 전달한다. 특히 주말에는 어린이를 위한 이벤트도 예정돼 있어 지역 커뮤니티와의 유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스프링 이즈 블루밍 프로젝트의 협업 아티스트 알렉상드르 뱅자맹 나베. [사진 반클리프 아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5/23/6890e1d6-2a36-414f-91c8-044d8dd61da5.jpg)
스프링 이즈 블루밍 프로젝트의 협업 아티스트 알렉상드르 뱅자맹 나베. [사진 반클리프 아펠]
“순수한 색에서 출발한 상상”
산업 디자인을 전공한 그는 이번 협업을 위해 다시 한번 반클리프 아펠의 방대한 아카이브를 조사했다. 잠실 월드파크를 캔버스 삼아 자신의 유쾌한 스케치 기법으로 메종의 자연에 대한 열정을 표현했다. 그는 이번 스프링 이즈 블루밍 프로젝트에 대해“도심 속 찰나의 경이로움과 평온함, 탈출의 순간을 표현하고자 했다”며 “마법 같은 숲, 바람이 흔드는 나무 아래에서 꾸는 한낮의 꿈처럼 서정적인 분위기를 공간에 담아내려 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그는 색연필 드로잉과 수채화 기법을 활용해 이끼색, 라벤더, 벚꽃 핑크, 하늘색 등 봄을 상징하는 색들로 작품을 완성했다. 각 컬러는 공간마다 독립적인 감성을 부여하면서도 전체적으로 하나의 풍경처럼 조화롭게 연결된다.
![알렉상드르 뱅자맹 나베가 직접 그린 스프링 이즈 블루밍의 지도. [사진 반클리프 아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5/23/9d36fc57-8928-4a7c-884c-189103d8ea84.jpg)
알렉상드르 뱅자맹 나베가 직접 그린 스프링 이즈 블루밍의 지도. [사진 반클리프 아펠]
일상에 스며든 자연의 마법
이번 아트 프로젝트는 메종의 이런 철학을 현대적인 예술 언어로 해석한 사례다. 특히 어린이와 가족 단위 관객까지 고려한 공간 구성은 하이주얼리를 일상 속 감성 경험으로 확장하는 시도다. “하이주얼리 메종이지만, 대중과 가까이 호흡하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나누는 방식으로 표현하고자 했다”는 메종 측의 설명처럼, 이번 행사는 이들이 가진 장인정신을 보다 넓은 스펙트럼에서 풀어낸다.
서울에 대한 나베의 애정도 각별하다. 행사 준비를 위해 이미 서울에 두 차례 방문한 그는 “서울은 올 때마다 활기찬 에너지에 놀란다”며 ”방문할 때마다 더욱 빠져들게 된다”고 했다. “도시의 건축물, 카페의 분위기, 다양한 전시 등 모든 곳의 창의성이 마음에 든다”는 것. 이 모든 것이 이번 프로젝트의 영감이 됐고, 참여자가‘바람이 살랑거리는 나무 아래 한낮에 꾸는 꿈’ ‘마법 같은 숲에서 자연의 아름다움과 연결될 수 있는 고요한 순간들’ ‘도심 속 찰나의 경이로움과 평온함’ 등의 꿈을 꿀 수 있도록 집중했다.
그가 가진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는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시간을 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대규모 설치작품을 통해 사람들이 익숙한 공간을 새로운 시각에서 재발견하고 잠깐 시간을 내 반클리프 아펠과 자신이 만든 정원에 놀러 와 휴식을 취하길 바란다. “이곳에서 책을 읽거나 사랑하는 이와 대화를 나누기도 하고 아이들과 상상의 분수 옆에서 뛰어노는 것면 좋겠다”는 그의 바람처럼, 하이주얼리 메종과 예술가가 만든 상상의 공간에서 일상 속 휴식을 만끽해 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