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해 1~5월 회계부정 신고자에게 지급한 포상금은 총 4억5000만원(4건)이다. 상반기를 지나기도 전 지난해 연간 포상금 규모(4억700만원·7건)를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은 회계정보와 관련해 부정행위를 신고한 사람을 보호하고, 회계부정 적발에 도움을 준 신고자에게 포상금을 지급하는 회계부정 신고 제도를 2019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신고·포상금 규모 늘었는데 예산 반영 안 돼

박경민 기자
금융위는 5월까지 이미 지급한 4건 외에도 10건의 회계부정 제재에 대한 신고 포상금을 추가로 지급해야 할 것으로 예상한다. 추가 지급에 필요한 포상금 규모만 17억원 수준이다. 4억5000만원을 끝으로 예산이 모두 소진되면서 나머지 신고자 10명은 17억원의 포상금을 올해 받을 수 없게 됐다.
당초 금융위는 지난해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올해 회계부정 신고 포상금 예산을 11억5000만원으로 증액하려고 했지만, 감액 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불발됐다. 애초 정부 예산안을 짤 때부터 수요 예측에 실패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2023년 5월 최대 포상금 산정 기준이 2배로 올라가면서 신고 건수(2022년 130건→2024년 179건)와 포상금 규모가 늘었는데 예산엔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부자 신고가 대부분
회계부정 신고는 대부분 내부자에 의해 이뤄진다. 회계부정 신고 분석 결과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임직원인 경우가 65%에 달했다. 나머지는 회사 거래처(15%), 주주(10%), 종속기업 관계자(5%) 순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회계감리 주기가 10년에 달하다 보니 외부감사만 잘 피하면 10년간 회계부정을 적발하기 어려운 구조다. 내부자 신고가 회계부정 적발의 가장 중요한 키”라며 “신고자 보호제도를 운영 중이지만 신고와 퇴사가 함께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 신고자에 대한 신속한 포상금 지급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