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논문 양과 질 모두에서 중국이 미국 제쳤다
당시 피인용 최상위 1% 중 중국 논문은 6.4%로 미국(41.2%)과 큰 차이가 났다. 과학 분야를 10개로 구분해 피인용 지수 최상위 1% 논문 수를 조사한 결과 중국은 2017~2019년 8개 부문에서 1위에 올랐다. 화학, 전기전자공학, 기계공학, 화학공학, 나노 기술 5개 부문에선 미국과 2배 이상 격차를 보였고, 특히 나노 기술에선 최상위 1% 논문 중 71.37%가 중국 논문이었다.
2022.09.22 12:25
11
-
1.4조 쥐는 세계 최연소 18세 억만장자…故김정주 딸이었다
지난 2월 별세한 넥슨 창업자 고(故) 김정주 NXC 이사의 18살 둘째 딸이 지분 상속으로 세계 최연소 억만장자가 됐다고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포브스는 18세인 차녀가 이로써 세계 최연소 억만장자 자리를 넘겨받았다고 밝혔다. 한편 상속 이전 NXC 지분 29.43%를 가지고 있던 김 창업자의 배우자 유정현 감사는 13만2890주를 상속받아 NXC 지분 34.00%를 보유하게 되면서 NXC의 최대 주주이자 넥슨 총수 자리에 올라섰다.
2022.09.22 12:20
30
-
[Focus 인사이드] 서해 국민 피살 책임을 피하려 한 문재인 청와대
2년 전 문재인 정부는 서해 NLL 이남 우리 해역에서 실종된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NLL 이북 북한 해역에서 식별됐다’는 군의 첩보를 보고받고도 6시간여 동안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려는 어떠한 국가적 행동도 보여주지 못했다. 국가가 국민의 생명을 지켜야 하는 최우선 책무를 다하지 못했기 때문에 문재인 정부가 당시 관련 부처들로부터 보고받은 각기 다른 정ㆍ첩보를 어떻게 융합한 뒤 종합적으로 판단했고, 그를 바탕으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려고 조치하는 의사정책 결정을 제대로 거쳤는지 지금이라도 우리 국민은 소상하게 알아야 할 권리가 있다. 2004년 이라크 무장단체에 의한 한국인 피랍사건 때처럼 지리ㆍ시차적으로 먼 해외도 아닌 가까운 서해 앞바다에서 우리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지 못하고, 국민을 분열시킨 데 책임은 문재인 정부의 정책 결정자들에게 남아 있다고 본다.
2022.09.22 12:09
44
-
"AZ백신 뒤 뇌질환, 국가가 보상" 판결에…질병청 항소한 배경
코로나백신유족회의 법률 고문을 맡은 김기윤 변호사는 "다른 사유 때문이라는 걸 정부가 입증 못하는 이상 백신 때문으로 봐야한다는 취지"라며 "행정부가 접종 피해 보상에 소극적 태도로 임하니 사법부가 나서 국민 권리 구제 차원에서 입증 책임을 전환, 국가가 져야 한다고 본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법 전문 이동찬 변호사(더프렌즈법률사무소)는 "환자 입장에서 의료 행위 전에 건강에 문제가 없고, 행위 이후 문제를 일으킬 만한 다른 요소가 없었다는 것이 확인되면 입증 책임이 경감된다는 판례가 있다"며 "이 경우 역시 질병청이 백신으로 인한 부작용이 아님을 입증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했다. "백신이 실제로 사용된 것은 불과 2년도 되지 않았고, 접종 후 어떤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 구체적인 피해발생 확률이 어떤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면서 정부의 입증 책임이 더 생긴다는 취지의 판결을 한 것이다.
2022.09.22 12:02
10
-
"대법원이 너무 늦었다"…'긴급조치 9호' 투옥 변호사의 한탄
2014년에는 " 긴급조치 9호를 처벌한 당시 수사기관이나 법관의 행위는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한 불법행위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 "는 이유를 들었고, 2015년에는 " 대통령은 국민 전체에 대한 관계에서 정치적 책임을 질 뿐 국민 개개인에 대해 법적 의무를 지는 것은 아니다 "라는 논리를 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긴급조치 제9호 피해자 A씨와 가족들에 대한 국가 배상 책임을 인정하지 않은 2심 판결을 파기해 환송했다. 그는 "긴급조치 제9호 피해자들은 경제적 형편이 좋지 않아 항소와 상고에 드는 소송비용을 대기가 힘든 경우가 많다"며 "2015년 대법원 판결 이후 더 이상 소송하기를 포기해 판결이 확정된 사례가 대부분"이라고 했다.
2022.09.22 12:02
0
-
국가미래 걸린 여야 큰 싸움…곳간 3% 준칙 vs 서민예산 확대
박대출 위원장은 "2017년 GDP대비 36% 수준이던 국가채무비율이 문재인 정권 5년을 거치며 현재는 50%에 육박한다" 며 "지난 정부의 과도한 확장재정운용으로 인해 대규모 재정적자 고착화가 우려되고, 나랏빚 규모도 급격히 불어나 재정통제가 불가피해진 상황"이라고 법안 제출의 배경을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특히 서민 예산, 예를 들면 서민 가계소득 지원 효과가 이중, 삼중으로 있는 지역 화폐 예산을 전액 삭감하는 믿기 어려운 일이 현 정부에서 벌어지고 있다"며 "민주당이 나서서 서민 삶을 악화시키는 잘못된 예산들을 반드시 바로잡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21일 경제 분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은 "문재인 정부가 국가부채 1000조 시대를 열었는데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2.2%로 역대 최저 수준"이라며 "재정 정상화"에 입을 모았다.
2022.09.22 12:02
2
-
“3만 명 동원” 중국 게임 글로벌 위상 달라졌다
게임 산업 분석가 다니엘 아흐마드(Daniel Ahmad)는 중국 매체 섭차이나(SupChina)에 "지난 20년 간 중국 게임 회사들은 자체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췄고, 심지어는 글로벌을 휩쓸 걸작을 만들어내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해외 시장에서 중국 게임의 매출은 180억 달러(약 24조 8940원)을 돌파했다. 이처럼 해외 시장에서 중국 게임이 쾌속 성장을 거둔 것은 중국의 정책적 지원 외에, 지난 2018년 게임 규제로 시작된 판호(허가) 발급 중단과도 관련이 깊다.
2022.09.22 11:59
23
-
이해찬의 내맘대로 회고록?…"尹총장은 인사실패…이재명 대단"
민주당의 과거 대선 승리는 "하늘의 뜻"이란 의미를 부여했고, 지난 3월 대선 패배는 "검찰ㆍ언론ㆍ관료집단의 카르텔" 탓으로 돌렸다. 이 전 대표는 민주당이 패배한 지난 대선과 관련, "윤석열 쪽의 비리 의혹은 증거가 나와도 검찰이 수사를 하지 않고 언론은 외면해 버린 반면, 이 후보는 아무런 증거가 없어도 의혹을 부풀렸다"고 주장했다. 이 전 대표는 민주당의 대선 패배 원인으로 ‘보수적 엘리트 카르텔’을 지목한 뒤, "한동훈 같은 인물이 카르텔의 중심에 서게 됐다.
2022.09.22 11:59
0
-
나토 사무총장 "푸틴 핵 발언, 무모하고 위험한 수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는 21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핵 무기 사용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무모하고 위험한 수사(rhetoric)"라고 비판했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이날 유엔 총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핵 전쟁은 결코 일어나선 안되고 이길 수도 없을 것"이라며 "러시아에 전례 없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이같이 발언했다고 가디언이 보도했다. 동시에 "나토는 러시아가 우리의 행동에 대해 오해가 없도록 할 것"이라며 "물론 그것은 러시아가 어떤 상황을 만들지, 어떤 무기를 사용할 지에 달렸다"고 말했다.
2022.09.22 11:38
0
-
[속보] 바이든 "푸틴, NPT 무시하며 유럽에 공공연히 핵 위협"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 언급에 대해 "공공연하게 핵 위협을 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7차 유엔총회 연설에서 "오늘 푸틴 대통령은 비확산 체제(핵무기비확산조약) 의무를 무모하게도 무시하며 유럽을 상대로 공공연한 핵 위협을 했다"며 "핵전쟁은 승자가 없는 전쟁이며, 결코 일어나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북한의 핵 도발과 관련해서는 "북한과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를 시작하려는 우리 노력에도 북한은 지속해서 유엔 제재를 노골적으로 위반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세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든 모든 국가가 외교를 통해 핵 비확산 체제를 강화하는데 전념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2022.09.22 11:3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