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을 마친 뒤 위패봉안관을 찾아 고 성복환 일병 배우자 김차희씨와 함께 고인의 위패를 바라보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10일 기자들과 만나 “국가보훈처의 독립유공자 포상심사 기준에는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 및 적극 동조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정부수립 이후 반국가 활동을 한 경우 포상에서 제외한다’는 규정이 있다”며 “약산의 서훈 부여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관련 규정 수정 가능성에 대해서도 “당장 규정을 고칠 의사가 없다”며 “서훈 추진은 전혀 사실이 아니고 이러한 정부의 방침은 확고하다. 더 이상 논란의 여지도 없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김원봉이 이끌던 조선의용대의 광복군 편입을 언급하며 “통합된 광복군 대원의 불굴의 항쟁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이 광복 후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ㆍ미 동맹의 토대가 됐다”고 하면서 서훈 추진 논란이 거세게 일었다.
![동지이자 부부인 독립운동가 박차정 열사와 약산 김원봉.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6/10/6667b9ee-7274-4852-975f-814ffee2e7de.jpg)
동지이자 부부인 독립운동가 박차정 열사와 약산 김원봉. [연합뉴스]
청와대가 서훈 추진에 대해 강하게 부인했지만 문 대통령은 야당 대표 시절인 2015년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원봉 선생에게 마음 속으로나마 최고급의 독립유공자 훈장을 달아드리고 술 한 잔 바치고 싶다”고 밝힌 적이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에 대해서도 “대통령이 김원봉 선생뿐 아니라 김구 선생 등 독립운동을 하신 분에 대한 존경심을 말한 것”이라며 “야당 대표 시절 발언과 (서훈 문제를) 연결지을 내용은 없다”고 했다.
청와대는 ‘정부가 조선의열단 100주년 사업에 20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는 일부 보도도 부인했다. 이 관계자는 “예산은 지난해 국회에서 이미 결정된 상태이고, 보훈처도 예산 지원을 공식적으로 요청받은 바 없다”며 “정부의 예산지원 의혹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이날도 백선엽 예비역 대장을 예방해 “북한군 창설에 기여했고 6ㆍ25 남침 주범 중 한 사람인 김원봉이 국군의 뿌리가 됐다는, 정말 말이 안 되는 이야기들이 있어 안타깝다. 잘못된 사람들이 군의 뿌리가 된 것처럼 얘기되는 것을 막아내겠다”고 비판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