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일 대통령 직속 군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의 한 관계자가 서울 중구 규명위 회의실로 들어가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9/08/185c4af0-6f22-4b8a-b03d-d3db057a22b0.jpg)
지난 4월 2일 대통령 직속 군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의 한 관계자가 서울 중구 규명위 회의실로 들어가고 있다. [뉴스1]
특히 올해의 경우 이들 3명은 지난 3월까지 업무추진비를 100% 직원 격려에만 썼다. 지난해에도 업무추진비 대부분을 같은 목적에 사용했다. 각자의 업무추진비 지출 중 해당 비중이 사무국장은 94.7%, 상임위원은 84%, 위원장은 44.6%에 달했다.
7명이 식대로 86인분 써
2시간 이상 초과 근무할 경우 식대에 해당하는 특근매식비는 정부구매카드를 이용해 1인당 한 끼에 7000원 이내로 쓰는 게 원칙이다. 보좌관실 전원이 먹어도 한 끼에 최대 4만9000원까지 쓸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런데 보좌관실 관계자들은 한우 요리 식당에서 한 차례 식사하면서 60만원을 지출했다. 이는 86명분의 식대에 해당한다.

규명위 지도부 업무추진비 부정 사용 현황.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같은 날 18차례나 주유
그런데 이 중 같은 날 3차례 이상 주유한 경우가 27%(약 1238만원)를 차지했다. 하루에만 18차례(2019년 1월 31일) 주유하거나, 하루에 217만원 어치(지난해 12월 11일)를 주유한 경우도 있었다. 또 근무하지 않는 주말에 유류비를 다수 지출한 것으로도 나타났다.
군사망사고 진상규명위 예산은 5ㆍ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위원회 예산(올해부터 독립 편성)과 함께 ‘민간 보상’이란 항목으로 국방예산으로 편성해왔다. 지난해 규명위 예산은 65억37000만원으로 이중 94.7%를 사용했다. 올해 예산은 75억6500만원으로 편성돼 있다.
![최원일 전 천안함장(오른쪽) 등 천안함 유족 및 전우회 관계자들이 지난 5월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감사원 앞에서 대통령 직속 군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의 '천안함 재조사' 결정 및 번복 경위에 대한 국민감사 청를 하기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109/08/226f6133-a9e2-4400-8b7d-1a7a3c60c580.jpg)
최원일 전 천안함장(오른쪽) 등 천안함 유족 및 전우회 관계자들이 지난 5월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감사원 앞에서 대통령 직속 군사망사고 진상규명위원회의 '천안함 재조사' 결정 및 번복 경위에 대한 국민감사 청를 하기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이와 관련, 한기호 의원은 “규명위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이라 해도, 활동 기간에는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엄연한 국가기관”이라며 “자체 감사 기능도 없으면서 타 기관과 달리 국회의 예산 심사를 피하는 건 국민을 기망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천안함 전우회 등은 천안함 재조사 논란과 관련해 지난 5월 감사원에 규명위에 대한 국민감사(직권남용, 부패행위 등)를 청구했다. 천안함 전우회 측은 “감사원은 여전히 ‘감사 실시 여부를 검토 중’이라는 답변만 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