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마하10"…北미사일 깎아내린지 나흘만에 바뀐 軍

북한이 11일 올들어 두 번째 미사일 발사로 무력 시위를 계속했다. 지난 5일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이라고 주장한 발사체를 쏜 이후 6일 만이다.

북한 국방과학원이 5일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6일 보도했다. 11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도 5일 미사일과 발사 장소와 비행 궤적이 비슷하다고 한다. 뉴스1

북한 국방과학원이 5일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6일 보도했다. 11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도 5일 미사일과 발사 장소와 비행 궤적이 비슷하다고 한다. 뉴스1

 
이날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오전 7시 27분쯤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 쪽으로 탄도미사일을 쐈다. 이 미사일은 최대 마하 10(시속 1만 2240㎞) 내외로 고도 약 60㎞까지 오른 뒤 700㎞ 이상을 날았다는 게 합참의 발표다.

합참은 “1월 5일 미사일보다 진전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속도·거리 등을 비교해서 내린 평가”라면서 극초음속 미사일 여부에 대해선 “탐지한 제원의 특성을 분석 중”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군이 이날 ‘진전’이라고 발표하면서 북한군 미사일을 평가절하했던 나흘 전의 분석을 뒤엎었다는 비판을 자초했다.  

앞서 국방부는 지난 7일 합참,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함께 5일 북한이 쐈던 미사일은 극초음속 미사일이 아니라 탄도미사일이라는 평가를 공개했다. 당시 군은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관영 매체를 통해 발표했던 ‘사거리 700㎞, 회피 기동 120㎞’는 과장이라고 알렸다. 그러면서 5일 미사일의 최대 속도는 마하 6(시속 7344㎞)였지만, 이는 상승 단계의 속도이며 하강 단계에선 극초음속의 기준인 마하 5(시속 6120㎞) 아래라고 설명했다. 북한이 개발하고 있는 극초음속 미사일은 정점 고도 이후 탄두부가 글라이더처럼 미끄러지면서 활공하는 방식이다.


북한, 세 번째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북한, 세 번째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결과적으론 나흘 전엔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능력을 평가절하했다가 이번엔 개발 가능성을 인정한 셈이다. 이때문에 국방부가 지난 7일 굳이 브리핑을 자처해 북한의 미사일 개발 수준을 섣불리 무시했던 배경에 대해 의문이 나오고 있다.

북한이 6일 만에 미사일을 다시 발사한 이유를 놓곤 국방부가 극초음속 미사일을 부인하자 이를 반박하기 위해서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북한은 지난해 9월 자신들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를 한국 당국이 인정하지 않자 다음달인 10월 SLBM을 다시 시험발사한 적 있다.

합참은 비행거리와 최대 속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피했다. 미사일 전문가인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사거리 1000㎞를 날 추력을 가진 미사일이 상승할 경우 마하 10 정도 속도가 나오며, 마하 7~8로 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11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 발사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11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 발사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행 거리 700㎞ 이상은 실제 비행 거리라기 보다는 한·미가 탐지한 거리로 풀이된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낮게 날면서 회피 기동을 하기 때문에 일부 구간에서 놓쳤을 가능성이 있다. 군 관계자도 “우리가 탐지한 거리”라고 사실상 인정했다.

권용수 전 교수는 “북한이 앞으로 1~2번 더 시험발사한 뒤 극초음속 미사일 실전배치를 선언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한ㆍ미엔 안보 부담이 커지고 있다.

주한미군은 이날 “우리는 북한의 가장 최근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동맹·우호국과 긴밀히 협조했다”고 밝혔다. 발사 이전 준비단계부터 파악했다는 뜻이다. 합참도 탐지·요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재 미사일 요격 체계로선 극초음속 미사일을 떨어뜨릴 방법이 마땅치 않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회피 기동 때문에 탐지가 어렵고, 속도가 빨라 기껏해야 1번의 요격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