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6,200 ㎥ LNG 운반선. [사진 현대중공업]](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1/13/4ef90ece-be70-4a40-8271-0a01744f2319.jpg)
216,200 ㎥ LNG 운반선. [사진 현대중공업]
기획재정부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는 이날 EU 집행위원회의 발표 이후 보도 참고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EU의 불승인 결정에 대해 아쉽게 생각한다”면서도 “최근의 조선산업 여건이 개선돼 EU의 결정이 우리 조선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어 “기업결합 추진을 결정했던 당시에는 2016년 수주절벽과 장기간 불황의 여파에 따른 국내 조선사 간 가격경쟁 및 과잉공급의 해소가 시급한 상황이었으나, 지난해부터 조선업 상황은 근본적으로 달라진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이 조선업 불황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고 글로벌 조선산업 구조조정으로 과당 경쟁 우려가 줄어든 데다, 고부가가치·친환경 선박 수주가 확대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외부전문 기관의 컨설팅 등을 바탕으로 대주주인 산업은행 중심으로 대우조선 경쟁력 강화방안도 조속한 시일 내에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시장에선 대우조선이 다시 매물로 나오더라도 적절한 인수 주체를 찾기 쉽지 않을 것이란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포스코, 한화, 효성그룹, SM그룹 등이 잠재적인 인수 후보군으로 꼽히고 있으나 과연 이들 업체가 인수전에 나설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