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한 선별검사소에서 의료진이 방문한 시민들을 분주히 검사하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2/25/0fc2e5ee-b947-46ef-9614-6f3a9f5180a5.jpg)
대전의 한 선별검사소에서 의료진이 방문한 시민들을 분주히 검사하고 있다. [중앙포토]
대한아동병원협회는 25일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소아·청소년 환자를 위한 비상 진료 체계 구축을 방역 당국에 요구했다.
협회는 증상 없는 소아·청소년이 등교 전 주 2회씩 코로나19 자가검사를 하도록 하는 교육부의 정책을 철회해야 한다며, 증상이 있는 경우에만 신속항원검사와 PCR을 수행하는 등 코로나19 검사법을 세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코로나19의 종결은 증상 없는 사람의 신속항원검사를 멈추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말했다.
또 고열과 기침 등 증상이 있는 환자는 신속항원검사 양성 결과가 나오면 의사의 임상적 판단 아래 추가적인 유전자증폭(PCR) 검사 없이 바로 대증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또 증상이 있는 급성기 환자에는 30분 내로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신속 PCR 검사인 현장진단(POCT)을 적용하도록 정부에 촉구했다.
협회는 "국내 대다수 아동병원이 독감 진단을 위해 이미 POCT 기기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해당 장비에 쓸 수 있는 신속 PCR 시약만 긴급사용승인하면 안심하고 병동을 운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영유아 코로나19 환자는 후두염, 폐렴, 탈수, 심한 통증을 겪을 수 있어 코로나19가 간접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줄이려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