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가통계국은 18일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이 4.8%라고 발표했다. 로이터의 시장 전망치(4.4%)나 블룸버그 집계치(4.2%)보다 양호한 성적표다. 하지만 중국이 지난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제시한 올해 목표치 ‘5.5% 안팎’에는 훨씬 미치지 못한다.
중국 소매판매 20개월 만에 마이너스
1분기 성장률이 시장 예상치보다 좋았던 건 코로나19 재확산세가 본격화하기 전인 1~2월 덕이다. 이 기간 중국 소매판매는 1년 전보다 6.7% 늘었고, 산업생산도 7.5% 증가했다. 수출도 1년 전보다 18% 늘어났다. 코로나19가 확산한 3월에도 산업생산(5.0%)과 고정자산투자(9.3%)는 선방했다.
중국인민은행이 지난해 12월 선제적으로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 등에 나서는 등 부양에 나선 효과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정부 정책의 영향을 즉각적으로 받는 생산과 제조업 등 비소비 영역의 3월 수치가 예상보다 양호했다”고 말했다. 지준율은 은행 등 금융사가 중앙은행에 예치하는 현금 비율로, 이를 낮추면 은행 등의 추가 대출 여력이 생긴다.
주요 도시 봉쇄의 충격은 2분기(4~6월) 본격화할 전망이다. 3월은 예고편 수준이었단 뜻이다. 지난달 28일 시작된 상하이 봉쇄는 18일까지 이미 22일째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하루 신규 확진자 2만 명대가 이어지는 등 고강도 봉쇄에도 확산세는 꺾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산시성 시안과 허난성 정저우 등 주요 대도시로 봉쇄가 확대되고 있다. 일본 노무라증권은 지난 17일 중국 45개 도시와 3억7300만 명이 완전 또는 부분 봉쇄된 것으로 추산했다.
도시 봉쇄는 산업과 소비 등 경제 전반에 무차별적인 피해를 야기한다. 주민들의 외출이 대부분 금지되고 사실상 거의 모든 경제활동이 중단되기 때문이다. 정여경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봉쇄가 진행 중인 상하이와 지린성이 중국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라며 “봉쇄 영향이 본격적으로 반영될 2분기 성장률이 1분기보다 좋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성장률 방어가 시급한 만큼 중국인민은행이 20일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인하해 추가 유동성 공급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시장은 회의적이다. 상하이 등 주요 도시 봉쇄로 자영업자와 기업, 임시직 종사자 등 경제 주체들이 질식하는 상황에서 유동성 공급은 미봉책일 뿐 근본 처방이 될 수 없어서다.
중국 올해 목표치 5.5% 성장 힘들 듯
이다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말부터 지준율·기준금리 인하, 지방특별채권 발행 확대 등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부양책을 펼쳤다”며 “정부 투자가 집중된 인프라 투자 제조업은 개선되는 조짐을 보였지만 내수가 빠르게 반등하지는 못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고강도 금리 인상을 예고한 미국과의 엇박자 통화정책은 중국에도 부담이다. 두 나라의 금리 차가 벌어지면 해외 투자자금 유출을 가속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결책은 봉쇄 조치 해제 등 ‘제로 코로나’ 정책의 포기다. 하지만 쉬운 선택지가 아니다. 이다은 연구원은 “시노팜 백신의 예방 효과성에 대한 의문과 열악한 중국의 의료체계를 고려하면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집하는 게 아니라 다른 방법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 N차 재감염과 봉쇄 리스크는 연말까지 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대로라면 올해 중국 성장률은 목표치(5.5% 안팎)는 고사하고 5%도 어려울 전망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바클레이즈는 “상하이 도시 봉쇄가 한 달 더 연장되고 전국 다른 지역에서도 부분 봉쇄가 두 달 이어지면, 중국의 2분기 GDP 성장률이 3%대로 내려앉아 올해 성장률은 4.2%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도 강 건너 불구경할 처지가 아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무역에서 중국은 수출액의 25.3%, 수입액의 22.5%를 차지했다. 중국 내 도시 봉쇄 조치가 장기화하며 성장률이 둔화하면 한국도 충격을 피할 수 없다.
이근태 LG경영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코로나 사태 속 내수 위축에도 지난해 한국이 4% 성장률을 기록했던 건 미국과 중국으로의 수출이 버틴 덕이었다”며 “중국 경제가 올해 위축될 가능성이 커지며 수출 주도의 한국 경제에도 경고등이 켜졌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