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추경 예산안 편성을 위한 첫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특히 핵심 요직인 총무비서관과 부속실장엔 검찰 일반직 출신인 윤재순 전 대검 운영지원과장과 강의구 전 검찰총장 비서관이 임명됐다. 이를 두고 문재인 정부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2일 당 회의에서 “(윤 대통령이) 비서실을 검찰청으로 착각하는 건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총무와 부속은 권력의 정점인 대통령과 가장 밀접하게 엮여있는 조직이다. 총무비서관실은 대통령실 재정 및 내부 인사를 총괄하는 곳이다. 흔히 ‘곳간지기’라고 불린다. 대통령 및 참모들의 활동비, 관저 예산, 특수활동비 등을 집행한다. 기업으로 따지면 재무팀과 인사팀을 합쳐놓은 곳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기 위해 11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자택을 나서고 있다. 김건희 여사가 배웅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이 때문에 역대 정부에선 대부분 총무비서관과 부속실장에 대통령이 가장 신뢰하는 최측근 인사를 배치했다. 누구에겐 ‘집사’, 누구에겐 ‘문고리’란 별칭이 붙었다. 대통령과의 밀접한 관계를 지칭함과 동시에 대개 비판의 뜻도 내포했다. 대통령과 가깝게 있다 보니 권력의 부침에 따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곳도 이 두 자리다. 총무비서관과 부속실장은 수난을 가장 많이 겪은 대표적인 보직으로 꼽힌다.
최도술ㆍ정상문(노무현 정부), 김백준(이명박 정부), 이재만(박근혜 정부) 전 총무비서관은 당시 대통령과 직ㆍ간접적으로 연결된 사건에 연루돼 사정의 칼날을 피하지 못했다. 김희중(이명박 정부), 정호성ㆍ안봉근(박근혜 정부) 전 부속실장도 마찬가지다.
이런 부분은 새 정부 대통령실 인선 과정에서도 주요 고려 대상이 됐다고 한다. 인선 작업에 관여한 한 정치권 인사는 “대선자금 및 특수활동비 관련 수사 경험이 있는 윤 대통령은 대통령실 조직이 어떻게 운영됐을 경우 문제가 생기는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며 “총무비서관과 부속실장 인선은 단순히 윤 대통령과의 근무연 때문이 아니다. 함께 근무한 경험을 통해 두 사람이 법과 원칙에 따른 업무 수행의 적임자라고 윤 대통령이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