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항에 도착한 외국인이 검역 요원에게 입국 수속을 하고 있다. [사진=차이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11/28/2f563d0b-b303-42af-bcf4-ba5ec017b7b4.jpg)
중국 공항에 도착한 외국인이 검역 요원에게 입국 수속을 하고 있다. [사진=차이신]
당초 이번 완화 조치를 발표한 10여개국의 중국 대사관에 주한국 대사관이 빠져 있었지만, 주한 중국대사관이 19일 오후 5시 30분(한국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간소화 사실을 발표했다.
현재 한국에서 중국에 입국하는 승객은 비자를 받았다는 전제 아래 예비검사→자가 건강 모니터링→탑승 2일 전 검사→건강 QR 코드 신청→탑승 전 검사에서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아야 탑승이 가능하다. 이후 중국 도착지역 정책에 따라 최소 시설 격리 10일 후 자가 격리 7일부터 최장 28일까지 마쳐야 녹색 건강 코드가 발급된다.
![지난 17일 주워싱턴 중국 대사관이 중국행 항공편 승객의 코로나 검사와 건강QR코드 신청 규정을 새로 발표했다. 기존의 탑승 7일전 핵산 검사 등의 요구를 취소했다. [주워싱턴 중국 대사관 홈페이지]](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11/28/4748a539-31c8-41bc-aba6-eab90c8de0f2.jpg)
지난 17일 주워싱턴 중국 대사관이 중국행 항공편 승객의 코로나 검사와 건강QR코드 신청 규정을 새로 발표했다. 기존의 탑승 7일전 핵산 검사 등의 요구를 취소했다. [주워싱턴 중국 대사관 홈페이지]
이번 완화 조치는 미국 이외에도 아일랜드, 폴란드, 네팔, 아랍에미리트, 세르비아, 이집트, 수단, 스페인, 덴마크, 말리 등 10여 개국 주재 중국 대사관이 동참했다고 중국 차이신(財新)이 19일 보도했다.
하지만 조치의 실효성은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차이신은 항공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민항국이 고수하는 서킷브레이커 정책의 조정 여부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지난 2020년 6월부터 국제선 항공노선에서 입국 후 핵산검사에서 확진자 숫자가 5명을 넘길 경우 1주, 10명일 경우 4주간 노선을 취소하는 서킷브레이커 조치를 시행 중이다.
서킷브레이커 조치 영향으로 현재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항공편은 계속 줄어 현재 주당 8편도 남지 않았다고 외교 소식통은 밝혔다. 서울에서 베이징을 오가는 직항편은 이미 중단됐고 웨이하이(威海)나 칭다오(靑島), 옌타이(烟臺) 등을 경유해야 한다. 또 도착지와 최종 목적지의 격리 정책이 다를 경우가 많아 이중 격리도 속출한다.
‘제로 코로나’ 정책은 중국 내 외국인의 대거 엑소더스로 이어지는 분위기다. 지난 12일 주중 독일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설문에 따르면 460개 기업의 외국인 직원 28%가 중국을 철수할 계획이다. 주중 미국상공회의소는 설문 응답 기업 절반 이상이 이미 중국에 대한 투자를 연기했거나 줄였다고 발표했다. 일본 상하이 총영사관도 지난달 2300여개 주 상하이 상공클럽 회원 조사 결과 타국으로 이전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는 항의 서한을 상하이 부시장에게 통지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