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2일 런던의 한 식료품 가게 앞을 한 시민이 지나쳐 가고 있다. 연합뉴스
英, G7 국가 중 인플레이션 수치 가장 높아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물가 상승의 주 요인은 전기·가스 등 에너지 요금 인상이다. 영국의 에너지 요금은 1년에 두 차례 상한이 조정되는데, 지난달에 54% 뛰었다. 영국 통계청(ONS)은 지난달 물가 상승의 75%는 에너지 가격에서 비롯됐다고 밝혔다.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 은행(BoE)은 올 연말까지 소비자 물가 상승이 10%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앤드루 베일리 BoE 총재는 전날 “최근 물가 상승은 코로나19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 세계적 요인에 따른 것이어서 자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식량 가격 급등에 대해서는 “종말론적(apocalyptic) 상황”이라면서 “심화하는 인플레이션 앞에 속수무책”이라고 말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2.3L 우유 한팩 가격, 2년만에 60% 올라
여론조사 기관인 입소스(Ipsos)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영국인 4명 중 한 명은 최근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식사를 거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저소득층은 3명 중 한 명이 식사를 걸렀다고 말했다. 영국의 비영리 상담기구 CA(Citizen Advice)의 데임 클레어 모리어티 CEO는 “실제로 많은 부모들이 아이들을 먹이기 위해 식사를 거르고, 온수 샤워를 할 수 없어 부엌 싱크대에서 간단히 씻는 등 힘든 생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계란·유제품 가격은 더 오를 거란 전망이 나온다. 소와 닭에게 먹일 풀을 키우는 데 필요한 질소 비료 가격이 치솟고 있어서다. 영국 더비셔 주에서 소 100마리를 키우는 제시카 랭턴은 “질소 비료 가격이 지난해보다 4배가 올랐다”면서 “비료 값이 계속 오르면 소의 일부는 도축장에 보낼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질소 비료의 주요 수출국인 러시아와 벨라루스는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글로벌 제재로 인해 수출이 중단된 상태다.

영국 런던의 시장에서 고객이 10파운드짜리 지폐로 채소값을 지불하고 있다. 연합뉴스
"식료품비 상승 원인은 전쟁"

지난 18일 영국 의회에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제적 자문회사인 옥스포드이코노믹스의 앤드류 굿윈 이코노미스트는 “러시아 침공으로 인한 영향이 아직 소비자 물가에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았다”면서 “지속적인 물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재 부문이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의회에서 생계비 부담으로 힘든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해 모든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