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임현동 기자
대표적인 친노무현(친노)계 정치인 김종민(사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3주기를 맞은 23일 '친노·친문' 정치인들을 향해 "노무현·문재인과 친하다는 것 말고 국민에게 내놓을 만한 게 없다"며 자아비판했다.
김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친노친문 정치 넘어서자'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자신이 '원조 친노 정치인'이라고 주장하며 "노무현과의 인연으로 정치에 뛰어들었고, 노무현 대통령 대변인했다고 국회의원 당선될 때 덕도 많이 봤다"고 소개했다. 이어 "노무현 대통령 13주기를 맞는 올해는 마음이 심란하다"며 "지금 하고 있는 정치가 면목이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지난 대통령 선거를 '역대급 비호감 선거', '승자없는 대선'이라고 정의하며 "국민의힘과 윤석열 후보도 지지 않은 것이지 민심이 자기 편이라고 주장하기는 민망한 상황이고, 민주당과 이재명 후보 역시 '졌지만 잘 싸웠다'고 우기면 안된다"고 평가했다.
이어 "더 심각한 것은 예선 탈락"이라며 "윤석열, 이재명 두 후보에게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지만 민심은 정치에 뒤늦게 뛰어든 행정가 출신 두 사람을 선택했다. 그동안 정치를 주도해온 친노, 친문, 586정치는 예선 탈락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노무현 문재인과 친하다는 건 흠이 아니다"라면서도 "친노 친문 정치의 문제는, 노무현 문재인과 친하다는 것 말고 국민에게 내놓을 만한 게 없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무슨 주장을 했는지, 무슨 가치와 비전을 내세웠는지, 무엇을 위해서 결단하고 노력했는지 선명한 게 없다"며 "그냥 노무현과 문재인과 가깝다, 대통령 만드는데 힘을 보탰다는 사실만 남아있다. 정치인들이 누구와 친하다는 것만으로 기록된다는 건 정치를 잘못한 것"이라고 일갈했다.
김 의원은 "노 대통령에게 정말로 미안한 것이 그 10년 동안 그가 남긴 숙제가 거의 해결되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해결은커녕 노무현만큼 간절하게 매달리지도 못했다"고 반성했다. 또 "정치하면서 친노라는 이름으로 노무현 덕은 보면서 '국민통합정치'라는 노무현 정신은 제대로 이어가지 못했다"고 했다.
김 의원은 "친노라면 국민통합정치, 다양성 민주주의, 현장 민주주의의 길로 가야 한다"며 "친노, 친문만으로 기억되는 정치 이제 그만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민주당을 향해서도 "지방선거 결과에 관계없이 민주당 정치를 근본부터 돌아봐야 한다"며 "대선에서 지지 않았으면 가던 길 그냥 갔을 것이지만, 졌기 때문에 돌아보고 돌이킬 수 있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