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한미정상회담 환영만찬에서 미국 국가가 연주될 당시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양 정상은 가슴에 손을 얹고 있고, 박병석 국회의장(오른쪽)은 차렷 자세다. [바이든 대통령 인스타그램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4/b63adb59-985b-4426-a7ed-866079a4cdbc.jpg)
지난 21일 한미정상회담 환영만찬에서 미국 국가가 연주될 당시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양 정상은 가슴에 손을 얹고 있고, 박병석 국회의장(오른쪽)은 차렷 자세다. [바이든 대통령 인스타그램 캡처]
이를 놓고 야당 지지자들 사이에선 “의전상 결례”, “대통령이 국격을 낮춘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외교 상대국 국가가 나오는데 대통령이 가슴에 손을 올리는 건 이례적이라는 지적이다. 그러자 대통령실은 23일 언론 공지를 통해 "상대 국가를 연주할 때 가슴에 손을 올리는 것은 상대국에 대한 존중 표시”라며 “의전상 결례라고 볼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민주당에선 이 해명이 “억지스럽다”는 재반론도 나왔다.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윤건영 의원은 24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이 평생 검사로 수사만 했기에 여러 실수가 있을 수 있다”면서도 “이후에 있었던 대통령실 해명이 너무 억지스러워 말이 좀 안 된다. 대통령의 외교 데뷔 무대이고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미국과의 정상회담이라면 더 철저한 준비가 필요했다”고 지적했다.
앞서 윤 대통령 취임 첫날에는 군 예절이 도마에 올랐다. 윤 대통령이 10일 0시 용산 대통령실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국군통수권을 이양받는 과정에서 앉은 채로 거수경례를 받는 장면이 소개됐는데, 온라인 상에서 “거수경례 시 기본자세는 선 채로 차렷인데, 군 예절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오며 화제가 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0시 서울 용산 대통령실 국가위기관리센터 상황실에서 국군통수권 이양 및 북한 군사동향 등의 보고를 받으며 집무를 시작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앉아서 거수경례를 하는 모습을 놓고 온라인상에선 "군 예절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통령실 제공]](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4/8427ac4b-2e35-457d-906a-c415a284559e.jpg)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0시 서울 용산 대통령실 국가위기관리센터 상황실에서 국군통수권 이양 및 북한 군사동향 등의 보고를 받으며 집무를 시작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앉아서 거수경례를 하는 모습을 놓고 온라인상에선 "군 예절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통령실 제공]
16일 윤 대통령의 첫 국회 시정연설에서는 ‘인사패싱’ 논란이 일었다. 당시 여야 의석을 향해 각각 한 번씩 몸을 숙여 인사한 뒤 연단에 오른 윤 대통령이 박병석 국회의장에게 인사를 하지않고 연설을 시작하려고 하자, 박 의장은 웃으며 “대통령님, 의장께도 인사하십시오”라고 청했다. 그러자 윤 대통령도 뒤돌아 박 의장에게 정중하게 몸을 숙여 인사했다.
![윤석열 대통령 16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취임 후 첫 국회 시정 연설을 하기에 앞서 박병석 국회의장이 "의장께도 인사하라"고 청하자 뒤돌아서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4/c43cc014-765d-4e94-93e9-0d4436a11611.jpg)
윤석열 대통령 16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취임 후 첫 국회 시정 연설을 하기에 앞서 박병석 국회의장이 "의장께도 인사하라"고 청하자 뒤돌아서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다만 여당 내부에선 “정치에 입문한 지 얼마되지 않은 대통령인 만큼 지금은 작은 실수가 있더라도 곧 익숙해 질 것이고, 체제도 빠르게 정비될 것”이란 이야기도 나온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여의도 경험이 없지만 인사를 아끼는 스타일이 아니다. 미국 국가가 나올 때 가슴에 손을 올린 것도 동맹국에 대한 예우 차원으로,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행동”이라며 “큰 논란이 될 문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